특집_우리 시대 문학/담론이 묻는 것
- / 현대시와 근대성, 그리고 대중의 삶
- / 잉여와 초과로 도래하는 시들
- / 타자의 인식과 공공성의 성찰
- / 이방인, 법, 보편주의에 관한 물음
시
- / 뒷산 외
- / 제 이름은 야한입니다 외
- / 밥상 외
- / 수수꽃다리 다섯그루 외
- / 덮어준다는 것 외
- / 맨드라미 꽃밭 외
- / 겨울을 나는 방법 외
- / 수렴 외
- / 제3통증 외
- / 某日 외
- / 오래된 이야기 외
- / 레드 아이 외(창비신인시인상 수상작)
소설
- / 맘 켕기는 날
- / 투명인간
- / 철학잉어
- / 화가전(창비신인소설상 수상작)
- / 바다 쪽으로 세 걸음 장편연재4
문학초점
- / 표성배 시집 『기찬 날』
- / 강성은 시집 『구두를 신고 잠이 들었다』
- / 현기영 장편 『누란』
- / 구효서 소설집 『저녁이 아름다운 집』
- / 박민규 장편 『죽은 왕녀를 위한 파반느』
문학평론
- / 이시영의 시와 활력의 정치학
- / 라일락과 장미향기처럼 결합하는(창비신인평론상 수상작)
논단과 현장
- / 4대강, 길이 있다
- / ‘통일신라론’을 다시 말한다 김흥규의 비판에 대한 반론
- / 21세기에 ‘동아시아 공동체’가 갖는 의미
- / 분단체제론과 한일 시민사회 『어디가 중도며 어째서 변혁인가』를 읽고
촌평
- / 이남주 엮음 『이중과제론』
- / 김영미 『그들의 새마을운동』
- / 톰 플레이트 『어느 언론인의 고백
- / 무라까미 하루끼 장편 『1Q84』
- / 김기흥 『광우병 논쟁』
- / 오강남 『또다른 예수』
문화평
- / 풍문 속의 ‘청소년문학’
- / 젊어서 고생은 사서라도 할래요
社告
- / 안도현 시집 『간절하게 참 철없이』
- / 문진영 『담배 한개비의 시간』
- / 주하림 이반장 김영희
책머리에
- / 거짓과 위법투성이의 ‘신종 법치’
독자의 목소리
- / 독자의 목소리
대화
- / 한국학의 역정과 동아시아 문명론
시선과 시선
- / 사법개혁, 그 멀고 험난한 길 김두식 『불멸의 신성가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