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머리에
- / 새롭고 자유로워지자
특집
- / 발제1 문학과 예술에서의 근대성 문제
- / 발제2 한국경제 발전의 제조건
- / 토론
시
- / `아니다`의 주정
- / 북의 시인에게 외
- / 탁탁 혹은 톡톡 외
- / 여기에서 나는 외
- / 기계들의 눈이 짐승처럼 빛나기 시작했다 외
- / 가을, 산사에서 외
- / 아침 외
- / 마슈크 산에서 외
- / 형제 아이 외
- / 풍선기 초 외
소설
- / 해거름에 먼길을 떠나다
- / 새
- / 호랑나비
산문
- / 집사람과 나
시평
- / 한 젊은 과학도의 EXPO 관람기
- / 토니 모리슨의 소설세계
평론
- / 성찰의 깊이와 기억의 섬세함
- / 평등한 푸르른 대지
논단
- / 1980년대 후반 이후 한국 맑스주의이론의 성격변화와 한국 사회과학
- / 깨달음의 일상성과 혁명성
- / 국경없는 세계인가?
『창비』 81호 특집을
- / 다시 일어나는 민중운동
- / `대항`에서 `대안`으로
서평
- / 시에 있어서의 선명함과 모호함
- / 한국고전시학의 새로운 인식
- / 현실에 대한 관찰과 통찰
- / 근현대문학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 / 미국을 바라보는 진보적 민족주의의 시각
촌평
- / 빨치산의 꿈과 좌절
- / 소문난 잔치의 먹을거리: “세계관의 대립“?
- / 다원주의 비평과 이원론의 유혹
- / 인간중심의 한국고대사 복원
- / 우리나라에도 과학기술정책이 있는가
- / 시련 이겨낸 청춘의 언어
- / 치밀한 관찰과 풍부한 과학적 지식
독자의 편지
- / 독자의 편지
사고
- / 수상작 이문구 소설집 『유자소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