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KOR
  • ENG
  • 사이트맵
  • 블로그
  • 창비교육
  • 창비학당
  • 미디어창비
  • 검색
    • ID/PW찾기
    • 회원가입
    • 로그인
창비 – Changbi Publishers

Main menu

콘텐츠로 바로가기
  • 도서
    • 전체 도서
    • 새로 나온 책
    • 수상도서
    • 추천도서
    • 전자책
  • 저자
  • 계간 창작과비평
  • 창비어린이
    • 창비어린이 홈
    • 계간 창비어린이
    • 새소식
    • 도서 목록
    • 어린이/청소년 독서활동 자료
    • 빅북
    • 책씨앗
    • 커뮤니티
    • 공모
  • 커뮤니티
    • 팟캐스트 라디오 책다방
    • 독자통신
  • 문학상 및 작품공모
    • 단행본 투고 안내
    • 만해문학상
    • 백석문학상
    • 신동엽문학상
    • 창비장편소설상 공모
    • 창비신인문학상 공모(시/소설/평론)
    • 계간 ‘창비어린이’ 원고모집
    • 어린이-청소년 관련 공모
  • 이벤트
    • 독자 행사 정보
    • 행사/이벤트 후기
    • 당첨자 발표
  • 고객센터
    • 자주 묻는 질문
    • 1:1 문의하기
    • 도서관을 위한 One-Stop 상담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공지사항
  • 창비 소개
  • 계간 창작과비평 (구)
    • 계간 창작과비평 소개
    • 편집위원
    • 정기구독 안내/신청
    • 전자구독이란?
    • 정기구독자 게시판
    • 창비주간논평
Home>창비어린이>공모

공모

  • 좋은 어린이책 독서 감상문 대회
  • 창비청소년문학상 공모
  • 창비청소년도서상 공모
  • 창비어린이 신인문학상 공모
  • ‘좋은 어린이책’ 원고 공모
  • 계간 ‘창비어린이’ 원고모집
  • 창비 청소년 글쓰기 대회
  • 창비 영어덜트 장르문학상 공모

공모 안내

● 독자 여러분들이 자주 문의하셨던 내용을 정리해 두었습니다. 먼저 정리된 내용을 살펴보시고 여기에 궁금하신 사항에 대한 답이 없다면 문의를 해주세요.

 

Q: 제가 쓴 글을 어린이책이나 청소년책으로 내고 싶습니다. 어떻게 하면 될까요?

 

A: 창작동화나 동시, 논픽션 원고의 경우 책 한 권 분량의 원고를 저희 출판사 어린이청소년출판부에 바로 투고하는 방법(일반 투고)이 있고, 저희 출판사에서 해마다 여는 ‘좋은 어린이책’ 원고 공모나 ‘창비청소년문학상’ ‘창비청소년도서상’에 응모해서 심사를 받는 방법이 있습니다.

 

일반 투고를 하려면 책 한 권으로 낼 만한 분량의 원고를 우편이나 이메일로 보내시면 됩니다. 이때 꼭 연락처를 적어서 보내주세요. 그리고 만약 우편으로 투고하신 경우 작품을 돌려받기 바라시면 반드시 ‘반송을 바랍니다’라는 메모를 덧붙여주세요. 그러한 언급이 없는 경우 저희 출판사를 비롯한 대부분의 출판사가 원고를 되돌려드리지 않으며, 그에 대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투고작을 받으면 각 원고에 해당하는 분야별 담당 편집자가 원고를 잘 받았다는 확인 메일을 보내드립니다. 그러고서 원고를 검토하는데, 여러 편집자가 검토하고 의견을 나누어 저희 출판사에서 책으로 낼지를 판단합니다. 그런 다음 검토 결과에 대해 이메일이나 전화로 연락을 드려 말씀드립니다. 그렇게 원고를 검토하고 연락을 하는 데까지 보통 한 달 정도 걸린다고 보시면 됩니다.

 

분야별로 원고를 보낼 우편주소와 이메일주소 등의 연락처는 홈페이지의 첫 화면 위에 있는 메뉴에서 ‘문학상 및 원고공모’를 찾아 들어간 다음 ‘단행본 투고 안내’ 메뉴로 들어가시면 자세히 나와 있습니다.

 

또한, ‘좋은 어린이책’ 원고 공모나 ‘창비청소년문학상’ ‘창비청소년도서상’에 응모하려면 해마다 응모 마감 기한인 9월 말까지 원고를 보내시면 됩니다. 이때 우편으로만 접수를 하니 각 공모에 대한 자세한 안내 내용을 확인하셔야 합니다. 본 페이지의 위에 있는 메뉴에서 해당 공모를 찾아 들어가시면 안내 돼 있습니다.

 

Q: 그림책에 관심이 많아요. 제가 창작한 그림책 글이나 그림은 어떻게 보여드려야 하나요?

 

A:그림책 글 또는 그림을 투고하기로 하셨다면, 자신이 만들고자 하는 그림책에 대한 상(像)을 구체적으로 갖고 있어야 할 것입니다. 비록 아직 완성되지 않은 상태더라도, 만들고자 하는 책이 어떻게 전개될 것인가를 편집자에게 또렷하게 보여줄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림책 글 또는 그림의 경우 ‘이런 상태로 보여주십시오’ 하는 정확한 모범답안은 없습니다. 하지만 아주 거친 아이디어 수준의 것은 당연히 단행본을 만들 원고로 받아 검토하기 어려우니 곤란합니다. 그러니 그림책의 모양새를 염두에 두어 각 페이지마다 장면을 나누어서 글과 그림을 제시하시면 좋겠습니다. 이때 전체적인 손톱스케치[thumbnail]를 만들어 보여주시면 좋을 테고, 미리 가제본[dummy] 형태로 만들어 보여주셔도 좋겠습니다.

 

그림책 글 또는 그림을 투고하는 방식은 위 답변에서 밝힌, 일반 원고 투고 방식과 거의 같습니다. 글만 투고하셔도 상관없습니다. 다만, 만약 그림을 촬영 또는 스캔해서 보여주시려 할 때 용량이 커서 이메일로 보내기 어려운 경우 미리 연락을 주시면 저희 웹하드에 올리는 방법 등을 안내해드립니다. (참고로, ‘좋은 어린이책’ 원고 공모에는 그림책 분문이 없기 때문에 그림책 글 또는 그림 원고의 경우 일반 투고로만 받습니다.)

 

Q: 어린이책에 들어갈 일러스트레이션 작업을 하고 싶습니다. 제 그림을 들고 출판사를 찾아가면 될까요?

 

A:저희 출판사가 경기도 파주시의 파주출판단지에 있어서, 멀리 계신 분께는 찾아오시라고 하기가 죄송스럽습니다. 그렇지만 포트폴리오를 가지고 한번 찾아오시는 게 여러모로 좋기도 합니다. 그렇게 해서 인연이 시작되기도 하니까요. 이때 꼭 저희 어린이청소년출판부로 미리 전화를 해서 만날 약속을 잡아주시기 바랍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자칫 아무도 만나지 못하거나 도움 드릴 말씀을 나누지 못하기도 합니다.

 

포트폴리오에는 대개 잘된 그림들만을 담아 오시는데, 꼭 그럴 필요는 없습니다. 평소에 끼적인 낱낱의 컷들이나 연습용으로 쓰는 스케치북 등 볼거리를 다양하게 가져오시면 그만큼 저희도 그림 세계에 대해 풍부하게 이해하고 가능성을 엿볼 기회가 생기니까요. 그리고 저희가 모르는 어떤 내용에 대해 그린 그림에 대해서는 별로 드릴 말씀이 없으니, 잘 알려진 옛이야기나 어린이문학 작품, 그림책 등을 새롭게 해석해 표현한 것 같이 서로 내용을 공유할 것이 있는 글을 바탕으로 그린 그림이 있다면 작품 해석이나 그림의 방향 등에 대해 여러 말씀을 나눌 수 있을 것입니다.

 

그 밖에 어떤 일러스트레이터를 좋아하는지, 왜 그 사람의 작품이 마음에 드는지, 앞으로 어떤 작업을 하고 싶은지, 좋아하는 동화작가는 누구인지, 창비 어린이청소년 책 가운데 어떤 책이 좋다고 생각하는지 등에 대해 이야기 나눌 준비를 하고 오시면 더더욱 좋겠습니다.

 

Q: 아동청소년문학 작가가 되려면 어떤 공부를, 어디서 해야 좋은가요?

 

A:소설가나 시인이 되기 위해 반드시 대학에서 특정한 전공을 할 필요가 없듯이, 아동청소년문학 작가가 되는 것도 마찬가지겠지요. 작가 가운데 국문학(혹은 외국문학)이나 문예창작을 전공한 분도 있지만, 그 밖에 교육대나 사범대를 나와 학교 교사로 일하면서 창작을 하는 분도 많고, 유아교육이나 신문방송학, 철학 등 다양한 학문을 전공한 분도 많습니다. 무엇을 공부했든 상관없이 아동청소년문학에 관심을 갖고 꾸준히 공부하면서 습작을 해가신다면 길이 보일 것이라 생각됩니다.

 

아동청소년문학 작가가 되고자 공부를 하려는 분들을 위해 문화센터나 기성작가가 마련한 강좌가 있기는 합니다. 대표적인 곳으로 한겨레문화센터의 아동문학작가학교가 있고, 문지문화원에서도 ‘동화 창작 교실’을 엽니다. 그리고 정해왕, 임정진 작가 같은 분들이 ‘어린이책을 만드는 사람들’ ‘어린이책작가교실’ ‘푸른잉크 동화교실’ 등을 열고 있습니다.

 

한편, 대학원에서 아동청소년문학을 공부하고 연구하는 과정이 있기도 한데요, 건국대나 단국대 대학원에 전공 과정이 있습니다. 인하대 한국어문학과나 중앙대 및 동국대 문예창작과 등에는 전공 과정이 따로 있지는 않지만 관심을 가진 문학 전공자들이 있어서 관련한 공부를 할 수 있기도 합니다.

 

 

Q: 어린이문학 작가로 등단할 수 있는 과정은 어떤 것이 있나요?

 

A:먼저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여러 신문사에서 여는 신춘문예로 등단하는 것이 있겠습니다.

두 번째로는 저희 출판사에서 내는 계간 『창비어린이』의 ‘창비어린이 신인문학상’을 비롯해 월간 『어린이와 문학』의 신인작가 추천제도 등 아동청소년문학 잡지를 통해 등단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밖에 『시와 동화』나 『아동문학평론』 같은 아동청소년문학 잡지의 경우 대부분 따로 등단 과정을 두지는 않더라도 작품을 투고하면 심사를 거쳐 싣기도 하는데, 그런 경우 문단에 이름과 작품을 선보였기에 작품활동의 시작으로 보기도 합니다. 제도화된 등단에만 국한되었던 과거와 달리 창작활동을 해나가는 방식이 그만큼 개방되는 흐름이지요.

 

세 번째로는 각 출판사의 공모를 통해 등단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저희 출판사에서 해마다 여는 ‘좋은 어린이책’ 원고 공모를 비롯해 문학과지성사나 비룡소, 문학동네, 웅진주니어, 푸른책들, 대교 같은 출판사에서 신인작가와 기성작가 상관없이 누구나 응모할 수 있는 공모 또는 문학상을 해마다 열고 있습니다. 청소년문학의 경우 저희 출판사의 ‘창비청소년문학상’을 비롯해 사계절, 비룡소, 푸른책들, 문학동네 등에서 공모 또는 문학상을 열고 있지요. 이러한 관문은 대부분 책 한 권으로 만들 수 있는 분량과 완성도를 갖춘 원고를 대상으로 합니다.

 

마지막으로, 앞서 말씀드린 대로 제도화된 등단 과정을 거치지 않더라도 관련 잡지나 출판사 편집부에 직접 원고를 투고하고 검토해줄 것을 의뢰해서 작품을 발표하거나 책을 내는 경우도 많답니다.

  • 창비어린이
    • 창비어린이 홈
    • 계간 창비어린이
      • 계간 창비어린이 소개
      • 목차/회차
      • 계간 창비어린이 정기구독 안내
    • 새소식
    • 도서 목록
      • 전체 도서
      • 새로 나온 책
      • 청소년 도서 목록
      • 교과서 연계 도서
    • 어린이/청소년 독서활동 자료
      • 도서목록 자료실
      • 독서활동 자료실
      • 심화 자료실
      • 문화지원 프로그램
    • 빅북
    • 책씨앗
      • 창비 어린이/청소년 전시 안내
    • 커뮤니티
      • 독자 게시판
      • 편집자의 책꽂이
      • 어린이책 길라잡이
      • 어린이문학 좋은 평론
      • 음악창고
      • 독서감상문 대회 수상작
      • 청소년 글쓰기 대회 수상작
      • 행사 후기
    • 공모
      • 좋은 어린이책 독서 감상문 대회
      • 창비청소년문학상 공모
      • 창비청소년도서상 공모
      • 부모가 읽는 동화
      • 창비어린이 신인문학상 공모
      • ‘좋은 어린이책’ 원고 공모
      • 교육에세이 ‘내가 만난 청소년’
      • 계간 ‘창비어린이’ 원고모집
      • 창비 청소년 글쓰기 대회
      • 창비 영어덜트 장르문학상 공모
  • 창비어린이 새소식

    • 제14회 창비청소년문학상 · 제11회 창비청소년도서상 심사 결과 발표
    • 제12회 창비어린이 신인문학상 발표
    • 제12회 ‘창비어린이 신인문학상’ 마감(9/30) 임박

  • 회사소개

  • Contact

  • 제휴 문의

  • 창비트위터

  • 창비페이스북

  • RSS

  • 에스크로
  • 이용약관
  • 개인정보처리방침
  • 사이트맵

Family Site

  • Changbi English
  • 季刊 『創作と批評』日本語版
  • 창비주간논평
  • 창비에듀닷컴
  • 창비 블로그
  • 미디어창비
  • 창비 공식 페이스북
  • 창비 공식 트위터
  • 인문까페 창비
  • 세교연구소
  • 창비학당
  • 창비서교빌딩 대관 서비스
창비

copyright (c) Changbi Publishers, Inc. All Rights Reserved.

10881 경기도 파주시 회동길 184 (413-756 경기도 파주시 문발동 출판문화정보산업단지 513-11)
대표전화 031-955-3333(월~금 10시~17시) / 팩스 031-955-3399 / Webmaster@changbi.com
대표이사: 강일우 / 사업자등록번호: 105-81-63672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