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판에 적힌 시 한 편 – 국어 선생님의 시 배달 3』
창비∥2011년 10월 10일 발행∥국판 변형∥256면∥값 9,800원
시는 삶 밖에 있다? 시는 우리 집, 우리 교실에 있다!
“아이들과 이 시를 읽으며 어머니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 소소한 일상에서 부딪치는 어머니와의 이야기를 통해 미처 살피지 못한 어머니의 마음을 되돌아볼 수도 있을 것이고 자신의 모습을 되짚어 생각에 잠길 수도 있을 것이다. 이런 시간을 통해 문학이 곧 나의 이야기라는 것을 아이들이 느낄 수 있었으면 좋겠다.”
인천 부평여고에서 국어를 가르치는 최미라 교사가 함민복의 「눈물은 왜 짠가」라는 시를 소개하면서 이렇게 덧붙인다. 시가 특별한 사람만의 것이 아니라는 걸 전하고 싶어서다.
평소 시와 아이들을 사랑한 전국의 국어 선생님 한데 모여 『칠판에 적힌 시 한 편 – 국어 선생님의 시 배달 3』을 펴냈다. 2009년부터 ‘창비 국어’ 누리집(www.changbiedu.com)과 전자 우편을 통해 전하고 있는 시와 글을 모아 『국어 선생님의 시 배달』 1권과 2권을 묶은 뒤, 많은 이의 뜨거운 호응에 힘입어 ‘국어 선생님의 시 배달’ 3권을 엮었다. 중•고등학교 국어•문학 교사 54명이 한 편씩의 시를 엄선하고 이를 소개하는 산문을 짤막하게 곁들었다. 특히 이번 책에서는 교사들 말고도 김선우, 나희덕, 도종환, 안도현 시인과, 만화가 김양수, 여행가 유성용, 가수 요조, 요리사 박찬일 등의 다양한 직업군의 저자가 참여해 시를 이야기하고 시를 매개로 학생에게, 부모에게, 선생님에게 말을 건넨다.
“나도 막막하던 때가 있었다. 벽을 넘어서기 위해 싸우다 피 흘리고 얻어맞고 쫓겨났다. … 담쟁이는 포기하지 않는다. 나만 힘든 게 아니라 옆에 있는 잎들도 힘들다는 생각을 하며 서로 손을 잡는다. … 나는 그것을 조급해하지 않고 서두르지 않는 태도로 보았다. 자신을 믿고 다른 것들과 연대하고 협력하여 마침내 절망의 벽을 아름다운 풍경으로 바꾸며 벽을 넘는 담쟁이를 볼 때마다 나는 담쟁이가 우리에게 많은 걸 가르쳐 주고 있다고 생각했다.”
도종환 시인은 시 「담쟁이」를 창작한 동기를 풀어놓는다. 안도현 시인은 ‘연탄 시인’으로 불리게 된 사연을 전한다.
“제자네 집에서 자취를 하려고 조그마한 방을 얻었는데 이 집도 연탄을 때는 집이었다. … 어쩌다 술이라도 한 잔 하게 되는 날은 연탄 가는 것을 깜박 잊어버리고 잠이 들 때가 있었다. 그런 새벽, 무릎을 오그리고 잠을 자다 깨어 보면 어느 틈에 아랫목이 따스하게 데워져 있기도 했다. 나는 안다. 그 새벽에 연탄불이 꺼진 것을 확인하고 조용히 불을 붙여 준 따뜻한 손의 주인이 누구인가를. … 내가 그 누구에게 연탄 한 장 되지 못했다는 자책감으로, 나도 그 누군가에게 연탄 한 장이 되고 싶다는 작은 바람으로 몇 편의 ‘연탄시’를 썼다.
백석, 김수영과 같은 작고 문인부터 우리 시단의 어른인 신경림, 정현종, 이시영 시인, 그리고 박성우, 권혁웅, 심보선 등의 젊은 시인까지 세대와 시 형식을 구분 짓지 않고 좋은 시를 쓰는 시인들의 시를 담았다. 생의 경륜과 유려한 시어로 깊이를 더하는 시부터 톡톡 튀는 상상력으로 발랄함을 뽐내는 시까지 시인들의 다양한 시세계를 한자리에서 감상할 수 있다. 딱딱하지 않은 시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어렵고 멀게 느껴온 시가 곁으로 한 발짝 가까이 다가와 있음을 발견할 수 있다.
* 『국어 선생님의 시 배달』의 특징
▶ 문학에 매혹된 중고등학교 국어 선생님이 학생들에게 꼭 권하고 싶은 시를 선정했다.
– 현직 중고등학교 국어 선생님들이 좋은 시를 골랐다. 이 책을 시작으로 앞으로 시와 문학을 매개로 교사와 학생 간의 소통도 꾸준히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 참고서 식의 해설이 아니라 가슴으로, 체험으로 느낀 절절한 사연을 담았다.
– 딱딱한 분석 글을 배제하고 쉽고 재미있게 이해하고 느낄 수 있는 글들을 실었다.
▶ 책 읽기와 친해지고 시와 문학에 대한 이해력을 기를 수 있다.
– 시와 문학이 교과서나 시집의 울타리에 매이지 않고 훨씬 친숙한 것임을 느끼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