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시대의 큰시인 고은의 문학생활 35년을 집중 조명한 신작평론집. 제1부에서는 「고은 시인과의 대화: 그의 문학과 삶」을 비롯 시작 전반을 살펴본 이동순·최원식 교수의 글을 싣고, 2부와 3부에는 초기 시부터 『백두산』 『만인보』에 이르기까지, 4부에는 소설과 수필·평론 들을 중진 및 신예 평론가들이 치밀하게 검토하였다.
차 례
□ 머리말/신경림
제1부
고은 시인과의 대화: 그의 문학과 삶/최원식•김태현•권성우
`존재의 전이`에 대하여/이동순
고은 시의 민족문학적 성과
고은, 서정시 30년의 역정/최원식
제2부
중심없는 세계, 존재의 빈 아름다움/이경수
고은의 초기 시에 대하여
죽음과 행복한 잠/김주연
고은의 70년대
삶의 깊이, 민족문학의 자부심/염무웅
『조국의 별』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의 경제/황정산
『나의 저녁』과 『아침이슬』을 중심으로
선시(禪詩)와 리얼리즘/백낙청
최근의 고은 시집 세 권을 중심으로
제3부
인물시의 새로운 가능성/윤영천
『만인보』론
『백두산』의 시적 상상력/김영무
싸움 혹은 춤으로서의 몸던짐
『백두산』과 『만인보』, 그리고 고은의 문학사상/김재홍
제4부
구도의 끝없는 나그넷길, 그 변증/김병익
고은의 『화엄경』 읽기
역사의 삶, 그 각성과 실천/장석주
소설집 『밤주막』 『어떤 소년』
60년대적 허무주의의 마지막 장/김명인
산문집 『세노야 세노야』
수필과 여기(餘技), 사랑과 환멸/한만수
수필집 『환멸을 위하여 진실을 위하여』 『역사와 더불어 비애와 더불어』
민족문학론의 추구, 그 밖과 안/성민엽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