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양파라곤아파트 동쪽 정원 측백나무 옆/고양이 세마리가 나와 자울자울 해바라기를 하고 있는데/그중 두 놈은 흰 배에 검은색 등이고/나머지 한 놈은 완전 호랑이 색깔이다/그런데 저렇게 평화로울 수 있다니!(「평화롭게」 전문)
삶의 순간, 찰나에서 길어올린 영원의 미학
이시영의 시는 짧지만 긴 여백 속에 큰 울림이 있다. 냉정하다 싶을 만큼 차분한 감성과 극도로 절제된 언어로 사물의 현상과 실체를 에두르지 않고 있는 그대로 정확히 꿰뚫어보는 시선이 더없이 예리하면서도 한편 따뜻하다.
“설치류의 작은 이빨이 단단히 박혀 있는 “밤톨 하나”(「석양 무렵」), “비 온 뒤 하늘에서 씻겨온 세모래 위에/가지런히 찍힌 어린 새의 발자국”(「첫」), “언 땅속에서” 전신을 다해 “찬란한 봄”을 머금고 있는 “개나리 한 뿌리”(「조춘(早春)」)에서도 생의 경건함과 자연의 이법을 포착해내는 시인은 “모든 탄생하는 것들의 고요”(「신생」) 속에서 생명의 위대함과 신비로움을 통찰하며 사소한 자연 현상을 우주적 차원으로 확장시켜 바라보는 놀라운 예지력을 보여준다.
눈부신 햇살이 쏟아져내리는 남극의 싸우스조지아 섬, 턱끈펭귄 암컷이 둥지에 품고 있던 알을 부리로 톡톡 깨자 기다렸다는 듯이 껍질을 뚫고 나오다가 옆으로 쓰러지는 새끼 턱끈펭귄. 고개를 젖혀 비린 눈을 뜨자마자 어미를 향해 한껏 벌린 입이 저 아래까지 빨갛다.(「입」 전문)
‘서정시를 쓰기 어려운’ 팍팍한 시대를 올곧은 정신으로 살아가고자 하는 시인은 “모든 결빙(結氷)의 시절”(「십이월」)인 현실을 직시하며 그 속에 감추어진 세계의 진실을 드러내는 데 온 힘을 쏟는다. 암울한 시대의 어둠을 밝히며 진실한 삶을 오롯이 지켜온 시인은 편을 가르거나 누구를 따돌리지 않고 서로 어울려 ‘평화롭게’ 살아가는 세상, “국경도 없고 경계도 없고 그리하여 군대나 경찰은 더욱 없는” “그런 ‘나라’ 없는 나라”(「‘나라’ 없는 나라」)를 꿈꾼다.
저마다 “시린 가슴을 안고”(「대지의 잠」)서 하찮고 여린 삶을 살아가는 “가난한 사람들”의 “젖은 어깨”와 “더운 발자국”(「2호선」)에 따뜻한 위로와 온기를 불어넣으며 시인은 언젠가는 “살아봤으면”(「춘천」) 좋을 세상이 오리라 기대하며 “세상이 그렇게 빨리 망하진 않을 것”(「조춘(早春)」)이라는 희망의 불꽃을 지핀다.
아직 해가 뜨지 않은 남대문 광역버스 정류장/발가락이 삐져나온 운동화를 신은 노숙자 하나가/가로수에 기대어 떨고 있었다/안 보이는 손 하나가 다가와 그에게/따뜻한 천원짜리 한장을 쥐여주었다(「겨울 아침」 전문)
그런가 하면 시인은 “결빙의 현실을 데우기 위해 과거라는 샘에서 온기를 훔쳐”(박형준, 추천사)와 “영원한 대지의 자식들”(「옛날엔」)이 부르는 ‘오래된 노래’를 조곤조곤 들려주기도 한다. “저녁을 먹고 나면” “동구 앞 정자나무들 아래 모여/전깃불 화안한 읍내를 바라보곤 하였(「소년들」)던 유년 시절, “동구 앞을 지키고 서 있는 오래된 팽나무”(「정자나무」)와 “그날밤 우리들 허리며 가슴을 적시며 흐르던” 섬진강의 “그 따스한 밤 강물”(「밤 강물」)과 “겨울이면 뜨거운 김을 뿜어내고 여름이면 얼음처럼 차가운 물이 쉼 없이 솟구치던 그 샘”(「찬샘」) 등 가슴속에 간직해둔 사연들을 회상하며 시인은 기억의 지층을 더듬어 내려가 사람의 향기가 물씬 풍기는 아늑한 추억의 풍경 속으로 잠긴다.
일머슴처럼 손 크고 덩치 큰 울 어매 곡성댁, 마당에 어둑발 내리면 쌀자루 보릿자루 옆구리에 숨겨 몰래 사립을 나섰네. 그때마다 쪽찐머리 고운 해주 오씨 우리 큰어머니 안방 문 쪽거울에 대고 혼잣말처럼 중얼거리셨네. “니 에미 또 쌀 퍼서 나간다.” 저녁이 다 가도록 밥 짓는 연기 오르지 않는 동무 집이 많던 시절.(「밤마실」 전문)
이시영 시인은 삶에 대한 애정만큼이나 사람에 대한 애정 또한 각별하다. 그래서 그의 시는 쉽게 가슴을 울릴 만큼 ‘인간적’이다. 시인은 이번 시집에서도 “어릴 적 어머니 앞에서 떡국에 쓰일 새알을 곱게 못 빚으면 강화로 시집보내겠다고 해 ‘강홰년’이란 말을 처음 들었다며 웃으실 땐 입가에 부드러운 미소가 흐르고 양 볼엔 간혹 홍조를 피우시곤 하였다”는 박완서(「낙타교」), “이대로 이대로는 절대 보낼 수 없던 “문구 형님” 이문구(「이대로는」), “남루를 걸치고 다니다 음식점 입구에서 내쫓기던 철학자” 민병산(「민병산 선생」), “친구들이 우르르 몰려가면/풍로를 아예 길바닥에 내놓고 입김 호호 불어가며 밥 지어주던” 아내와 “독립문 밖 외로운 아파트”에 살았던 박정만(「독립문 밖」), “선량한 키에 그 누구도 속일 수 없을 것 같은 서늘한 눈매”를 지녔던 박목월(「애월(涯月) 지나며」) 등 그리운 얼굴들을 애틋한 마음으로 호명한다.
소설가 오정희 씨가 서울 나들이를 위해 춘천 역사에 들어서면 어떻게 알았는지 금테 모자를 눌러쓴 귀밑머리 희끗한 역장이 다가와 이렇게 인사한다고 합니다./“오 선생님, 춘천을 너무 오래 비워두시면 안됩니다.”/그리고 측백나무 울타리 가에서 서울행 열차의 꽁무니가 안 보일 때까지 배웅한다고 합니다./아, 나도 그런 춘천에 가 한번 살아봤으면!(「춘천」 전문)
시력 45년, 한평생 시의 외길만을 걸어온 시인은 끊임없는 자기성찰과 문학적 열정을 가다듬으며 여느 젊은 시인 못지않은 왕성한 활동으로 시단의 중진으로서 듬직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세상엔 이렇게 겸손한 분”(「절」)과 “그림자처럼 조용한 분”들이 있으나 “역사는 이런 분을 잘 기억해주지 않는”(「찬(讚) 김정남 선생」) 현실을 안타까워하면서 시인은 “나직나직 조용해지면서 오랜만에 나 자신으로 돌아”(「상(床)밥집에서」)와 지나온 삶을 반추해본다.
이순을 훌쩍 넘긴 나이에도 여전히 “아직도 어린아이의 마음을 간직하고 싶은 평범한 시인”(시인의 말)으로서 온화하면서도 날카로운 시선으로 세상을 바라보는 시인의 선한 눈빛과 순정한 마음이 새잎에 돋는 이슬방울처럼 “금빛으로 환하게 눈부”(「금빛」)시다.
양들이 조심조심 외나무다리를 건너 귀가하고 있습니다/곧, 저녁입니다(「곧」 전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