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양
-
일제시대 민족적 교육자이자 『조선교육사』라는 탁월한 업적을 남긴 이만규(李萬珪) 선생의 저서. 이 책에서 저자는 크고 작은 가정사의 합리적 지침을 딸에게 얘기하듯 자애로운 문체로 설명하고 있다. 여성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여성의 사회참여를 주장하는 진보적인 여성관은 요즘의 우리들에게도 놀랍기 그지없다.
-
『고쳐 쓴 한국근대사』 『고쳐 쓴 한국현대사』는 1984년 출간된 저자의 역저 『한국근대사』 『한국현대사』를 전면적으로 증보하여 내놓은 책이다. 이 책들은 역사학도나 지식인은 물론이고, 일반인도 부담 없이 읽을 수 있어 많은 독자의 사랑을 받아왔다. 이렇게 사랑을 받아온 두 책이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태어났다. 이번 2판에서는 1994년 1판이 출간된 이래 새롭게 밝혀진 사실(史實)들을 반영하여 인물의 생몰년을 추가하거나 수정하고, 일부 […]
-
『고쳐 쓴 한국근대사』 『고쳐 쓴 한국현대사』는 1984년 출간된 저자의 역저 『한국근대사』 『한국현대사』를 전면적으로 증보하여 내놓은 책이다. 이 책들은 역사학도나 지식인은 물론이고, 일반인도 부담 없이 읽을 수 있어 많은 독자의 사랑을 받아왔다. 이렇게 사랑을 받아온 두 책이 새로운 모습으로 다시 태어났다. 이번 2판에서는 1994년 1판이 출간된 이래 새롭게 밝혀진 사실(史實)들을 반영하여 인물의 생몰년을 추가하거나 수정하고, 일부 […]
-
우루과이라운드, 쌀시장 개방 등으로 한국의 농업과 농촌이 맞닥뜨린 위기상황 속에서 우리 모두가 알아두어야 할 농업문제 90가지를 선정하여 문답으로 풀이하였다. 장상환·박진도 교수 등 전문연구자들이 도표 등을 활용하여 간결하고 친절하게 설명해준다.
-
농촌 출신으로 오랫동안 농업에 종사하면서 농민운동, ‘한살림’운동에 관여해온 저자가 그동안 발표해온 글들을 모아 재구성한 것. 물량·성장 위주의 문화가 빚는 반생명적 현상에 대한 우려를 바탕으로 황폐해가는 농촌(땅)과 죽은(공해) 음식의 상황으로 우리 ‘밥상’ 현실을 진단하여 오늘의 농촌문제, 가치관의 문제 등을 제기하고 있다.
-
한국전쟁 당시 서울대 사학과 교수였던 김성칠(金聖七, 1913∼51)씨가 보고 겪은 6·25에 대한 생생한 기록. 40여년 만에 처음 공개되는 이 일기는 해방 직후인 1945년 12월부터 다음해 4월, 50년 1월, 50년 6월부터 다음해 4월 8일까지의 체험기이자 관찰기이다. 철저한 중도적 입장에서 좌우익의 전변을 꿰뚫어본 역사가의 기록이라는 점에서 `사료`로서의 가치가 높고, 저자의 뛰어난 통찰력과 문화의식은 글 읽는 재미와 보람 또한 […]
-
저자 서경식씨는 70∼80년대에 걸쳐 익히 알려진 양심수 서승·서준식 형제의 동생으로, 이 책은 20년 가까이 두 형의 석방을 위해 노심초사하던 그가 우연히 떠난 유럽여행에서 마주친 그림과 조각들에게서 받은 인상을 자유롭게 써나간 에쎄이이다. 고야, 고호, 삐까쏘 등 거장들의 작품에서 무명예술가의 소품에 대한 체험에 이르기까지 저자의 풍부한 감성과 유려한 문체로 되살려져 미술품 감상에 익숙지 않은 독자에게도 색다른 감동을 […]
-
김시습부터 황현에 이르기까지 70여명의 서사한시 104편을 쉬운 우리말로 소개하고 있는 이 책은 한문학자 임형택 교수가 16년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여 발굴해낸 시 한 편 한 편을 번역해 쌓아온 노고의 산물이다. 한시의 서사성에 대한 재조명이 기대된다. 원문과 역문을 함께 실었고 편마다 작자 소개와 작품해설을 덧붙였고 주석도 곁들였다.
-
김시습부터 황현에 이르기까지 70여명의 서사한시 104편을 쉬운 우리말로 소개하고 있는 이 책은 한문학자 임형택 교수가 16년에 걸쳐 자료를 수집하여 발굴해낸 시 한 편 한 편을 번역해 쌓아온 노고의 산물이다. 한시의 서사성에 대한 재조명이 기대된다. 원문과 역문을 함께 실었고 편마다 작자 소개와 작품해설을 덧붙였고 주석도 곁들였다.
-
다산 정약용선생이 유배생활중에 보낸 편지들. 세상을 어떻게 살아가야 하며 무슨 공부를 할 것인가, 그리고 생계를 꾸리고 친구를 사귀는 방법 등을 아들에게 자상하게 일러주는 다산의 따스한 면모와 함께, 형님 정약전(丁若銓)과 주고받은 편지를 통해서 형제간의 우애와 대학자로서의 모습을 살필 수 있다. 상세한 해제, 역주, 찾아보기 등을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