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세계적 작가 아리엘 도르프만이 퇴행하는 미국을 향해 날리는 경고장 ‘라틴아메리카가 낳은 가장 위대한 작가의 한 사람’으로 평가받는 아리엘 도르프만의 『국토안보부가 내 연설문을 삼켰습니다: 트럼프 시대의 절망에 맞서』는 국내에 최초로 소개되는 그의 정치에세이 모음집이다. 칠레의 민주화 운동에 투신한 이래 오랜 망명생활을 견디며 압제에 저항해온 실천적 지식인이자 인권운동가로서 도르프만은 트럼프 정권의 야만적 행태를 비판함과 동시에 이를 이겨낼 성숙한 시민의식을 주문한다. 트럼프 정권 출범 직전부터 직후에 이르는 기간 동안 이 정권하의 어두운 앞날을 기민하게 예견하여 쏟아낸 날카로운 비판과 풍자가 저자의 인생에서 우러난 지혜와 넘치는 위트, 유려한 필력으로 버무려져 선명한 공감과 읽는 재미를 동시에 선사한다. 그는 미국 내 정치현안을 지구적 시야에서 고찰함과 동시에 한발 더 나아가 전인류의 생존을 위협하는 기후변화, 폭정을 이겨낸 역사의 현장에 남은 상처와 용서의 문제까지 다채로운 주제를 감동적으로 풀어냈다. 자신이 한평생 벼려온 저항 정신과 평화와 자유에 대한 희망을 전하는 도르프만의 목소리는 시대에 드리운 암운에도 좌절하지 않고 화합을 염원하는 시민들이 귀담아들어야 할 격조 있는 메시지다. 창비는 지난 3월 아리엘 도르프만의 삶을 곡진하게 풀어낸 회고록 『아메리카의 망명자: 칠레와 미국, 두번의 9.11 사이에서』를 출간한 데 이어 『국토안보부가 내 연설문을 삼켰습니다』를 세상에 내놓아 한국의 독자들에게 도르프만의 작품을 폭넓게 소개하고자 한다. 무찔러야 할 진짜 괴물을 직시하자: 트럼프라는 “유령”을 만들어낸 미국 사회의 심연을 고찰하다 트럼프 정권의 출현과 함께 도르프만이 가장 먼저 경계한 것은 사회에 대한 감시와 통제다. 이 정권은 좌절과 불만에 찬 다수대중을 호도해 편견과 증오를 부추겨 탄생했고, 그런 선동을 이어가기 위해서는 정권의 입맛에 반하는 목소리를 통제하는 것이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21세기 미국에서 그런 전체주의적 행태가 과연 가능한가? 이런 의문을 매끈하게 반박하는 글이 「국토안보부가 내 연설문을 삼켰습니다」이다. 국토안보부의 심문과정에서 저자의 현대언어학회 연설문이 압수당하는 가상의 상황을 재치있게 풀어낸 이 글은 그러나 학회 참석자들이 이를 가상이 아닌 실제로, 생생한 공포로 받아들이는 데서 놀라운 반전을 선사한다. 국가적 위기가 닥친다면 사회가 곧장 전체주의로 이행할 수 있다는 위기감을 모두가 느끼고 있다는 뼈아픈 통찰이 여기서 드러난다. 혐오로 편을 가르고 갈등을 조장하는 사회가 순식간에 전체주의적 폭력에 노출될 수 있음은 도르프만이 자신의 생애를 통해 경험한 것이기도 하다. 민주주의가 얼마나 쉽게 독재에 밀려나는지 칠레의 쿠데타를 통해 몸으로 겪었기에 그는 닥쳐올 위험을 경고하는 데 주저하지 않는다. 또한 좌절한 자들의 분노를 연민하고, “전쟁과 빈곤, 인종주의와 성불평등, 우리 모두를 위협하는 생태적 파국 같은 너무나도 명백한 망령에 맞서” “무찔러야 할 진정한 공포와 괴물을 직시하자”고 힘주어 말한다.
-
두번의 9·11을 겪은 세계적 작가 아리엘 도르프만의 역사적 증언이자 치유와 희망의 기록 칠레 사회민주화운동에 참여하고 군부독재에 저항한 세계적 작가 아리엘 도르프만의 망명기를 담은 회고록 『아메리카의 망명자: 칠레와 미국, 두번의 9·11 사이에서』가 발간됐다. 망명과 다문화 체험을 깊이있는 통찰로 녹여낸 작품들을 발표하며 주목받은 도르프만은 이 책에서 1973년 9·11 삐노체뜨의 쿠데타로 망명길에 나선 후 빠리와 암스테르담 등을 거쳐 […]
Ariel Dorfman로 검색된 결과 2개
도서 검색 결과 2개
글 검색 결과 0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