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
개원초등학교 3-4 이해준 난 학원을 많이 다닌다. 하루라도 제발 빠지고 싶은데….. 정말 짜증난다. 일주일 동안 학원을 안가는 날이 없어 너무 힘들다. 아마 진이도 나같은 기분일 것이다. 얼마나 놀고 싶었으면 그런 꿈까지 꿨을까? 나도 진이와 같은데 왜 난 그런꿈을 못꾸지? 어른들은 우리를 학원에 많이 보낼까? 나도 학원에 많이 다니지만 내 친구들도 그렇다. 친구들과 놀고 싶은데…… […]
-
서울 당현초등 3학년 이해민 이 글을 읽으니 내 말을 뭐든지 들어 주는 전봇대 아저씨 같은 내 인형이 생각났다. 내 인형은 내 말과 비밀도 아무 말 없이 잘 듣고, 비밀은 아무에게도 말하지 않는다. 그래서 내 마음의 전봇대는 인형이다. 그리고 남에게 말했더니 말도 못하고 움직이지도 못하고 놀이할 때만 쓰는 인형 따위를 왜 좋아하냐고 말한다. 하지만 난 […]
-
안성 서운중 2학년 이지혜 [우수상] 나는 지금도 꿈꾸고 있다. 세계 여행을 갈 날을 기다리며. 아직 나에겐 세계여행이란 무모하고 철없는 행동일지 모른다. 하지만 때때로 꿈 속에서 세계 여행을 가보곤 하는데 내가 아는 나라라고는 열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 그래서 가끔은 사회과부도를 펼쳐놓고 이곳 저곳 찾아보곤 한다. 그런데 나를 꿈속에서가 아닌 실제로 세계 […]
-
인천 연성초등 5학년 신선영 [우수상] 우리 반 아이들은 요즘 방학식날 장기자랑 할 춤을 연습하느라 정신이 없다. 5학년 마지막을 멋지게 끝내자고 나온 이야기인데, 그래서 우리 반 점심 시간에는 대중가요가 늘 틀어져 있다. 아이들도 좋아하고 나도 역시 가요와 많이 친숙하다. 또 요즘 우리 반에서는 팝송 바람이 불고 있기에 유행가 한 곡 정도는 영어로 즉석에서 […]
-
서울 언북 초등 4학년 정재윤 [우수상] 아직도 루디가 심판의 바지를 물어뜯는 모습이 떠올라서 웃음이 나온다. 나는 지금까지 돼지가 더럽고 바보 같다는 생각만 들었는데 루디를 읽어보니 깨끗하고 똑똑한 생각이 들었다. 나도 루디같이 똑똑한 애완동물을 한번 길러보고 싶다. 그런데 나는 애완동물을 기를 수 없다. 왜냐하면 부모님께서 귀찮고 시끄럽다고 키우지 못하게 하기 때문이다. 쭈피와 베티가 […]
-
대전 석교 초등 6학년 김보람 [우수상] 나는 문제아를 읽고 이렇게 억울하게 사는 아이도 있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그 전에 문제아는 다 못된 짓을 하고 문제아로 몰릴 만한 행동을 하니까 문제아라고 불리겠지. 하고 생각했었다. 물론 자기가 문제아로 몰릴 짓을 하고 다니는 문제아도 있다. 하지만 이 책 속의 문제아는 선생님이 문제아로 만든 것이다. ‘저 […]
-
대구 범물 초등 2학년 이수진 [대상] 장난꾸러기 개돌이에게 안녕? 장난꾸러기 개돌아? 너는 학교가 어떤 곳인지 모르는가 보다. 학교는 무서운 데야. 뭐 하려고 따라나서니? 나도 첨엔 밑에 집 오빠가 학교를 가면 거기서 뭘 하는지 몹시 궁금해했어. 근데 1학년이 되니까 학년 올라가기가 점점 무서워지는 거 있지. 선생님이 무서우면 어쩌나하는 생각도 들고. 근데 너는 운 […]
-
제3회 좋은 어린이 책 독후감 수상작 <우수상> 영원한 우정『우정의 거미줄』을 읽고 서울 성산 중학교 1학년 이아림 최근 생물 시간에 거미류에 관해 배웠다. 친구들은 대부분 흉측하게 생기고 무시무시한 거미를 생각했겠지만 나는 그럴 수 없었다. ‘거미’라는 말을 들었을 때 샬로트가 떠올랐기 때문이다. 샬로트는 거미뿐만 아니라 내가 싫어하던 모든 생물에 대해서 […]
-
제3회 좋은 어린이 책 독후감 수상작 <우수상> 새소리를 듣는 선비-『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를 읽고 강원도 원주시 단계 초등학교 5학년 유리 어머니께서 나에게 아주 유익한 책이 될 거라며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라는 책을 사다 주셨다. 겉 표지로 보아선 고리타분하게 보여 재미없을 거라고 단정짓고 그냥 책꽂이에 꽂아 두려다가 그래도 […]
-
제3회 좋은 어린이 책 독후감 수상작 <우수상> 『풀꽃과 친구가 되었어요』를 읽고 서울 영본 초등학교 4학년 최원 처음 이 책을 대했을 때 너무 실망스러웠다. “풀꽃과 친구가 되었어요”라는 제목은 나의 호감을 사지 못했기 때문이다. 그 때까지만 해도 난 공상 과학이나 이야기책, 추리 소설 같은 것들에만 시선이 집중되어 있었다. 그러나 머리말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