커뮤니티
-
제4회 창비 청소년 글쓰기 대회 중등부 대상 『고전은 나의 힘: 역사 읽기』를 읽고 서울 양정중학교 1학년 박정우 이 책의 4장에는 제국주의를 다룬 다양한 고전을 소개하고 있는데, 이 책의 230쪽에는 서구 문물 유입을 서로 다르게 바라보았던 두 사상가의 글이 실려 있다. 그중 나는 후쿠자와 유키치의 쪽을 지지한다. 그 이유로는 네 가지가 있다. 첫째, 배움의 […]
-
제4회 창비 청소년 글쓰기 대회 중등부 우수상 『고전은 나의 힘: 철학 읽기』를 읽고 여주 강천중학교 2학년 권경륭 바람직한 국가의 모습이란 어쩌면 너무 추상적일지 몰라도 맹자의 것이 맞는다고 생각한다. 백성이 없으면 나라도 없다는 말이 있듯이 백성을 중요시하는 국가의 모습보다 바람직한 것은 없다. 맹자는 덕으로써 임금이 올바르게 나라를 다스려야 한다는 그 당시 시대의 한정된 의견을 […]
-
제4회 창비 청소년 글쓰기 대회 중등부 우수상 『고전은 나의 힘: 사회 읽기』를 읽고 부천 석천중학교 1학년 소지명 우리가 사는 현대 사회 사람들 사이에는 정이나 친근감 대신 불신과 경쟁, 시기와 질투가 더 팽배해 있다. 사람들 사이 대인 관계는 철저히 이해 타산적으로 변했다. 21세기에 진정한 의미의 단합이란 찾아보기 힘들어지게 되었다. 타인보다는 개인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사람들이 […]
-
제4회 창비 청소년 글쓰기 대회 고등부 대상 『고전은 나의 힘: 철학 읽기』를 읽고 서울 한서고등학교 2학년 임성하 책에 실린 국가에 대한 세 철학자의 주장의 초점은 모두 다르다. 맹자는 “어짊과 의로움이 필요하고 덕으로써 세상을 올바로 다스려야 한다.”는 왕도 정치와 제왕이 부덕하면 새 왕조를 세워도 좋다는 역성혁명을 주장했다. 노자는 “내가 무위하면 백성들은 저절로 교화된다.”며 무위지치를 […]
-
제4회 창비 청소년 글쓰기 대회 고등부 우수상 『고전은 나의 힘: 역사 읽기』를 읽고 용인 풍덕고등학교 2학년 김종원 19세기 이후 서구 열강들의 동아시아 침략으로 서구 문명은 동아시아 사회 전반에 빠르게 확산되었다. 일본은 서구 문물을 빠르게 수용함으로써 아시아의 패자가 될 수 있었으나 훗날 2차 세계 대전의 전범국이 된다. 일본은 빠르게 유입되는 서구 문명에 맞게 사회를 […]
-
제4회 창비 청소년 글쓰기 대회 고등부 우수상 『고전은 나의 힘: 사회 읽기』를 읽고 서울 은평고등학교 1학년 한다영 누군가가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라고 말했지만 현대인들의 사회적 상호 작용은 점점 보기 어려워지고 다양한 인간관계, 유대감과 같은 사회적 자본을 잃은 채 우리의 공동체는 사라져 가고 있다. 이렇게 공동체가 사라지면서 이웃에 누가 사는지도 모르고, 독거노인이 사망 후 오랜 […]
-
제3회 창비 청소년 글쓰기 대회 중등부 대상『옷장 속의 세계사』를 읽고 서울 원묵중학교 2학년 김지연 내 친구 희정이에게 Apa kabar? 인도네시아로 ‘안녕’ 이라는 말이래. 난 인도네시아에서 잘 지내고 있어. 너는 어때? 내가 보낸 생일선물은 맘에 들어? 색깔이 예쁘고 문양도 독특한 ‘바틱’이라고 하는 인도네시아의 전통 섬유 공예 기법으로 만든 천이야. 바틱의 의미는 단순한 직물 […]
-
제3회 창비 청소년 글쓰기 대회 중등부 우수상 비바, 천하최강, 비바, 나의 친구들! — 『비바, 천하최강』을 읽고 서울 정신여자중학교 2학년 강민지 25여 년 전 엄마의 중학교 시절과 나의 시절은 닮아 있다. 엄마도 지금의 나처럼 친구들과 같이 좋아하는 가수를 화두로 삼아 수다를 떨고, 용돈을 모아 앨범을 사고, 가수 사진을 보며 가슴 떨려 하며, 쉬는 […]
-
제3회 창비 청소년 글쓰기 대회 중등부 우수상『파란 아이』를 읽고 서울 광희중학교 1학년 이태경 ‘새는 알을 깨고 나오려 싸운다. 태어나고자 하는 자는 하나의 세계를 파괴하지 않으면 안 된다.’ 데미안이 남긴 말이다. 자기 자신의 길을 가기 위해 기존의 세계를 깨야 하고, 싸워야 한다. 깨고 나오면 그다음은 날아야 한다. 새가 낡은 껍질을 깨고 나와서 발견한 […]
-
제3회 창비 청소년 글쓰기 대회 고등부 대상『파란 아이』를 읽고 문경 글로벌선진학교 3학년 박준요 선우와 은결. 같은 사람이지만 어머니와 할머니의 잣대 때문에 다른 이름을 가지게 된 아이. 그리고 그 사이에서 ‘파란 아이’가 선택한 이름인 은우. 이 아이의 정체성을 제일 잘 표현해 주는 이름은 무엇일까? 나는 이 책을 읽는 내내 ‘한 사람의 정체성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