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비뉴스
-
2019년 제37회 신동엽문학상 수상자가 지난 7월 25일 심사위원회의 결정에 따라 아래와 같이 선정되었습니다. 신동엽 시인의 문학과 정신을 기리고 역량있는 문인을 지원하기 위해 신동엽 시인 유족과 창비가 공동제정한 신동엽문학상은 등단 10년 이하 또는 그에 준하는 경력을 가진 이의 최근 2년간의 한국어로 된 문학적 업적을 대상으로 엄정한 심사를 거쳐 선정, 시상해오고 있습니다. 또한 올해부터 평론 부문이 추가되었습니다(시·소설은 […]
-
좋은 책으로 독자들과 함께 새로운 지식문화를 만들어가는 ㈜창비에서 편집사원과 인사업무 담당자를 모집합니다. 책과 문화에 대한 열정과 상상력으로 새로운 가치를 실현해나갈 인재를 기다립니다. ㈜창비와 함께 꿈을 펼쳐갈 분들의 많은 지원을 바랍니다. ● 채용 분야 1. 분야: 단행본 편집|어린이 그림책, 어린이 교양 2. 인원: 신입 ○명, 경력 ○명 1. HR분야 2. 인원: 경력 0명 […]
-
우리 문단을 이끌어갈 참신하고 역량있는 신인을 발굴하기 위해 (주)창비가 제정한 제19회 창비신인시인상에 한재범의 「저수지의 목록」 외 4편이, 제22회 창비신인소설상에 정은우의 「묘비 세우기」가, 제26회 창비신인평론상에 임정균의 「마음의 리얼리즘: 김금희론」이 당선되었습니다. 시상식은 2019년 11월 말에 열릴 예정이며, 상금은 시 500만원, 소설 700만원, 평론 500만원입니다. 당선작은 『창작과비평』 2019년 가을호에 게재됩니다. – 제19회 창비신인시인상 수상작: 한재범(韓在範) […]
-
본사에서 출간한 박철 시집 『없는 영원에도 끝은 있으니』가 제16회 이육사시문학상 수상작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이육사시문학상은 이육사 탄생 100주년을 맞아 숭고한 생애와 문학정신을 기리고 계승하기 위해 2004년 제정되었습니다. 『없는 영원에도 끝은 있으니』는 “주변과 이웃을 바라보는 시인의 목소리에 온기가 있고, 민족사적 아픔과 민중적 삶을 현실과 지난 시절의 그리움과 연민을 형상화하는 데 충실했다”라는 평을 받았습니다. 시상식은 7월 27일(토) […]
-
올해로 제24회를 맞은 ‘좋은 어린이책’ 원고 공모 마감이 6월말로 다가왔습니다. 『괭이부리말 아이들』 『초정리 편지』 『기호 3번 안석뽕』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창덕궁에서 만나는 우리 과학』 등 다양한 역작을 내놓아 많은 독자의 호응을 얻으며 어린이문학과 어린이교양서에서 우리 어린이책의 성장과 함께해 온 본 공모에 관심과 응모 부탁드립니다. *공모 마감일은 6월 29일입니다. 당일 발송된 것까지 받습니다. *창작 부문은 […]
-
참신한 상상력과 힘찬 서사를 발굴해 한국소설계에 새 바람을 불러 일으키기 위해 창비가 제정한 ‘창비장편소설상’의 제12회 당선작을 발표합니다. 이번 공모에는 지난 2월말까지 총 357편이 접수되었고, 여섯명의 심사위원을 위촉하여 두달 간의 심사를 거쳤습니다. 한국소설의 새로운 가능성을 보여준 수상자에게 큰 격려와 성원을 보내주시기 바랍니다. 수상작은 올 하반기 단행본으로 출간될 예정입니다. 수상작 김설원 『내게는 홍시뿐이야』 수상자 약력 단국대 […]
-
본사에서 출간한 표명희 장편소설 『어느 날 난민』이 제10회 권정생문학상을 수상했습니다. 권정생문학상은 아동문학가 권정생(1937~2007)의 삶과 문학의 정신을 잇는 작가와 작품을 격려하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권정생어린이문화재단에서 주관합니다. 제10회째를 맞이한 올해부터는 상금을 700만원에서 1,000만원으로 증액하고, 상의 명칭도 권정생창작기금에서 권정생문학상으로 바꾸어 시상합니다. 『어느 날 난민』은 “우리 사회의 중요한 이슈 중 하나가 된 난민 문제를 추상적 정보가 아니라 가슴으로 느끼게 해주는 […]
-
본사에서 출간한 황정은 연작소설 『디디의 우산』이 2019년 5·18문학상 본상 수상작으로 선정되었습니다. 5·18문학상은 5·18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기리고 담아내며 새로운 관점으로 계승할 수 있는 작품을 발굴하기 위해 2005년 제정되었습니다. 『디디의 우산』은 “젊은 세대의 삶의 현장과 기억이 병치돼 있다”며 “애도의 문학이나 기억의 문학으로 불러도 좋을 것”이라는 평을 받았습니다. 시상식은 오는 5월 25일(토) 5·18민주화운동기록관 대강당에서 열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