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비신서 103

한국 역사소설의 재인식

강영주  지음
출간일: 1991.01.25.
정가: 5,000원
분야: 문학, 평론
역사소설을 우리 현대소설의 주류로서 정당하게 재평가하려는 본격적인 시도. 홍명희의 『임꺽정』에 대한 최초의 본격연구를 포함하는 제1부 ‘한국 근대역사소설 연구’와 황석영의 『장길산』을 집중분석한 제2부 「역사소설의 리얼리즘과 민중성」, 그리고 제3부 「1930년대 평단의 소설론」으로 이루어져 있다.

목차

책 머리에

 

제1부 한국근대역사소설연구

제1장 서론

1. 문제 제기

2. 역사소설의 본질

 

제2장 근대 역사소설의 선행형태―애국계몽기의 전기문학(傳記文學)

1. 번역·번안 전기류

2. 창작 전기류

 

제3장 식민지시대의 역사소설

1. 이광수의 역사소설

(1) 『단종애사(端宗哀史)』

(2) 『이순신』 『세조대왕』

(3) 『원효대사』 『마의태자』 『이차돈의 사(死)』

2. 김동인의 역사소설

(1) 『젊은 그들』

(2) 『운현궁의 봄』

(3) 『대수양(大首陽)』

3. 현진건의 역사소설

(1) 『무영탑』

(2) 『흑치상지(黑齒常之)』

4. 박종화의 역사소설

(1) 『금삼(金衫)의 피』 『다정불심(多情佛心)』

(2) 『대춘적(待春賊)』

(3) 『전야(前夜)』 『여명(黎明)』

5. 홍벽초의 역사소설―『임거정(林巨正)』

(1) 봉단편(鳳丹篇)•피장편(皮匠篇)•양반편(兩班篇)

(2) 의형제편(義兄弟篇)

(3) 화적편(火賊篇)

 

제4장 결론

 

참고문헌

 

제2부 역사소설의 리얼리즘과 민중성

―『장길산』론

제1장 머리말

 

제2장 『장길산』과 『임거정』

 

제3장 역사적 진실성의 추구와 그 한계

1. 당대현실의 반영

2. 사회변혁의 전망

3. 형상화의 특징

 

제4장 민중성과 영웅주의의 갈등

1. 민중성의 구현

2. 영웅주의적 일탈

 

제5장 맺음말

 

제3부 1930년대 평단(評壇)의 소설론

제1장 서론

 

제2장 소설론의 방향 모색

 

제3장 장편소설의 논의

1. 성격과 환경의 문제

2. 장편소설 개조론

3. 전형창조의 논리

 

제4장 소설론의 한계

 

제5장 결론

 

참고문헌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