낮과 밤, 음표와 쉼표가 만들어 가는 하루
페브 농장의 선율에 귀를 기울여 보세요
그림책작가 안승하와 클래식 작곡을 전공한 이민주 작가가 함께한 그림책 『페브 농장』이 출간되었다. 바쁜 일상에 지친 주인공이 ‘페브 농장’에서 보내는 신비롭고도 평온한 하루를 담았다. 자연물에 빗댄 음표와 쉼표가 조화로운 선율을 만들어 가는 과정이 애니메이션 같은 화면으로 연출된다. 오롯한 휴식을 통해 다시 일상을 살아갈 힘을 얻는 이야기를 전한다.
음표 열매가 자라나는 곳,
페브 농장에서 보내는 휴식의 시간
저녁노을이 내릴 무렵, 도시는 퇴근하는 사람들의 발걸음으로 북적인다. 피자 가게에서 일하는 주인공 역시 일을 마치고 사람들 틈에 섞여 집으로 향한다. 우편함에는 할머니로부터 농장 일을 도우러 와 달라는 편지가 도착해 있다. 주인공은 망설임 없이 짐을 꾸려 시골집으로 떠난다. 할머니의 ‘페브 농장’에는 신비로운 일들이 기다리고 있다. 낮에는 특별한 씨앗이 자라며 활기찬 소리를 내고, 밤의 적막은 빛나는 별빛이 채운다. 이곳에서 주인공은 모든 감각이 충만해지는 시간을 보낸다.
그림책 『페브 농장』은 클래식 작곡을 전공한 이민주 작가가 글을 쓰고, 개성 있는 첫 그림책을 펴냈던 안승하 작가가 다채로운 그림으로 완성한 그림책이다. 오선지 위의 음표와 밭에 심긴 작물 사이의 유사성에 주목한 이민주 작가의 상상은 다양한 음표 열매들이 모여 화음을 만들어 내는 이야기로 확장되었다. 아름다운 선율이 흐르는 농장에서 작물을 가꾸고 강아지, 오리, 고양이와 평화로이 시간을 보내는 주인공의 모습은 독자에게도 오롯한 휴식을 선물한다.
쉼표를 통해 비로소 완성되는 선율
그림책 『페브 농장』 속에는 우리에게 친숙한 음표뿐만 아니라 쉼표도 중요하게 등장한다. 오랫동안 아이들에게 음악을 가르쳐 온 이민주 작가는 쉼표가 음표만큼 존재감이 크진 않지만, 멜로디를 만드는 데 꼭 필요하다는 점에 관심을 기울여 왔다. 작가는 쉼표 덕분에 음이 쉬기도 하고 리듬이 다양해진다는 발상을 자연과 연결 지어 서정적인 이야기로 풀어낸다. 쉼표 별자리의 빛이 음표 열매에 닿자 비로소 하나의 선율이 완성된다. 이 조화로운 선율은 잊고 있던 소중한 기억을 불러일으키고, 그 기억은 우리가 좋아하는 일을 계속해 나갈 수 있도록 이끈다. 바쁜 일상 속에서도 충분히 휴식을 취할 때 더욱 나다운 하루를 그려 볼 수 있다는 이야기를 전하는 작품이다.
보고 듣고 만지고 맛보는 음악
소리를 시각화한 그림책
안승하 작가는 첫 작품 『일하는 개들』에서 재치 있는 구성과 독특한 펠트 작업을 선보이며 주목을 받았다. 이번 작품 『페브 농장』에서는 애니메이션 같은 화면 연출이 돋보이는데, 이는 애니메이션 회사에서 일했던 작가의 이력과도 연결된다. 아주 작은 것까지 세심하게 그려 낸 밀도 있는 그림은 독자를 작품 속 세계로 끌어당기며 몰입도를 높인다. 인쇄 과정에서는 별색 잉크들을 사용했다. 각자 개성 있는 색들의 농담을 조절하고 그것을 적절히 혼합하여 화사하고 조화로운 빛을 담아낸 그림은 그 자체로 작품의 주제를 드러내기도 한다.
그림책 『페브 농장』의 가장 중요한 특징 중 하나로 소리가 그림으로 표현되는 점을 들 수 있다. 음표를 작물로 표현하고 그것을 수확해 요리하는 과정은 시각, 청각, 후각, 미각, 촉각을 아우른다. 음표와 쉼표뿐만 아니라 전봇대 전깃줄이 연상시키는 오선지 등 곳곳에 음악적 요소가 배치되어 하나씩 발견하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이민주 작가가 직접 작곡하고 피아노로 연주한 테마곡 음원의 QR코드를 수록해 작품의 여운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 작품 줄거리
분주한 일상을 보내던 주인공이 할머니의 부탁으로 ‘페브 농장’을 찾아간다. 페브 농장에서만 자라는 비밀 씨앗을 심으면 신비한 소리가 들려오는데…….
하루가 낮과 밤으로 이루어지듯이 음악은 음표와 쉼표로 이루어집니다. 고요한 쉼표의 의미가 많은 분의 마음에 담기기를 바랍니다. _이민주
수많은 음표 사이에서 조용히 빛나는 쉼표에 매료되어 그림을 그렸습니다. 저마다의 이유로 지친 하루에는 페브 농장을 찾아 주세요. 어린이부터 어른까지 모두 환영합니다. _안승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