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 김시업
제1부 근대문학의 원류
17세기 동아시아의 전란과 민중의 삶/박희병
―「김영철전」의 분석
1. 문제의 소재
2. 「김영철전」의 구성과 인물형상
3. 「김영철전」의 주제와 그 구현방식의 특징
4. 「김영철전」에서 전(傳)과 소설의 관계
5. 「김영철전」의 소설사적 의의
18세기초 사대부층의 새로운 문예의식/이종호
―동계(東谿) 조귀명(趙龜命)의 문예인식과 문장론
1. 머리말
2. 문장의 발생과 존재 방식
3. 도문분리론과 시변의 논리
4. 문예적성주의와 나의 글의 추구
5. 낭만주의적 창작론의 옹호와 주의론의 전개
6. 동계 문예인식의 외연
7. 맺음말
18, 19세기 경아전(京衙前)과 예술활동의 양상/강명관
―여항문화(閭巷文化)에 대한 한 고찰
1. 머리말
2. 조선후기 경아전의 경제적 성장과 생활상
3. 여항문화의 동향과 경아전의 활동상
4. 마무리
연암(燕巖)의 실학사상과 허생전의 작가의식/김학성
1. 머리말
2. 야담계(野談系) 이본(異本)의 서술구조와 특성
3. 「허생전」의 작가의식
4. 맺는말
열하일기(熱河日記)의 문체에 대하여/김명호
―호곡장론(好哭場論)을 중심으로
1. 머리말
2. 호곡장론의 분석
3. 맺음말
제2부 근대문학의 쟁점
1910년대 고소설의 부흥과 그 통속적 경향/권순긍
―활자본 고소설의 성격규명을 위한 시론
1. 머리말
2. 활자본 고소설의 출판 내용과 성격
3. 활자본 고소설의 통속적 경향
4. 맺음말
이기영의 초기소설과 사회주의 리얼리즘 문학의 형성/김성수
1. 머리말
2. 초기 프롤레타리아 문학과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형성조건
3. 이기영 초기소설의 전개과정
4. 마무리
심훈연구서설/최원식
1. 머리말
2. 심훈의 출신
3. 심훈과 사회주의자들
4. 심훈과 카프
5. 심훈의 문학예술관
카프 해산 문제에 대하여/임규찬
1. 해산 직전의 카프의 동향
2. 카프 해산과 논의의 경과
3. 결론과 남은 문제들
임화의 문학사 서술에 대한 관점의 몇가지 문제/한기형
민족문학론과 리얼리즘론/백낙청
1. 머리말
2. 기존의 리얼리즘론과 민족문학론
3. 사회주의 리얼리즘의 몇가지 기본적 전제
4. 엥겔스의 발자끄론
5. 레닌의 똘스또이론
6. 마무리: `세계관`과 `방법`에 관하여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