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작과비평 196호(2022년 여름호)

출간일: 2022.06.01.
정가: 15,000원
분야: 정기간행물, 창작과비평
전자책: 있음
지난 5년간 한국사회에는 다양한 열망과 의지가 분출되며 촛불혁명을 추동해왔다. 특히 2년여간의 팬데믹 사태에서 드러난 높은 시민의식은 촛불혁명이 가져다준 각성과 결코 무관하지 않다. 하지만 역대 최소 득표차로 촛불정부 2기 구성에 실패한 지금, 촛불혁명은 여전히 진행 중인가. 본지 편집위원이자 문학평론가 강경석은 민주사회의 현실정치가 단지 한명의 대표가 아니라 권한을 위임받은 다수의 대리자에 의한 것임을 짚으며, 촛불혁명에서 비롯된 정치교체의 여망을 반영하고 다양화된 정치적 의사의 대표성을 재강화하기 위해 여전히 노력을 경주해야 할 때라고 말한다. “새로운 ‘다수’를 조직하는 촛불연합의 재구성”(「책머리에」)이 요구되는 까닭이다. 촛불시민들에게 스스로를 갱신하는 지혜가 절실히 필요한 때, 『창작과비평』 2022년 여름호는 세계에 대한 감각을 새롭게 깨우는 긴요한 글들을 모았다. 특집은 ‘문명전환의 세계감각과 문학’이라는 주제로 돌봄위기, 기후위기, 디지털 전환, 비인간 존재에 대한 조명 등 변화하는 세계의 요청을 문학이 어떻게 수행하고 있는지 살핀다. 우끄라이나전쟁, 선거와 저널리즘, 20대 여성의 정치 참여, 장애인 이동권 투쟁 등을 논한 대화·논단·현장 등도 유의미한 고민을 던진다.

목차

책머리에 촛불연합의 재구성을 위하여 / 강경석

 

특집 문명전환의 세계감각과 문학

송종원 / 돌봄은 어떻게 문학이 되는가

유희석 / ‘기후위기’가 문학에 던지는 물음

전기화 / (비)인간의 자리로부터

강수환 / 다시 너와 연결될 수 있다면: 『꿈에서 만나』 『스노볼』 『단명소녀 투쟁기』를 읽으며

 

대화

윤석준 이동기 제성훈 황수영 / 전쟁은 모두의 패배다: 우끄라이나전쟁과 국제질서의 변화

 

김영승 / 일단 클리어홀더 98장을 버림 외

박구경 / 형평사(衡平社) 3 외

신이인 / 도둑 고양이 외

심재휘 / 여름의 색 외

안상학 / 가문비나무 외

유수연 / 유니폼 외

유안진 / ‘하나’를 음미하다 외

유현아 / 숨소리를 따라가던 외

이영주 / 소각장 외

이장욱 / 적 외

임지은 / 밀봉된 캔의 역사 외

정현우 / 스콜 외

 

소설

김혜진 / 축복을 비는 마음

박선우 / 햇빛 기다리기

성혜령 / 물가

이주혜 / 계절은 짧고 기억은 영영 (장편연재 2)

 

논단

강미숙 / ‘다음에는 무엇이?’: 『서양의 개벽사상가 D. H. 로런스』의 창조적 작업에 대하여

이봉수 / 선거와 민주주의를 타격한 저널리즘

 

현장

김은지 / 집토끼가 아니라 호랑이다: 20대 여성의 정치 참여를 중심으로

김수경 / 지하철을 멈춰 세우겠습니다

 

문학평론

성현아 / 자본주의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최백규와 최지인이 노동과 우울을 그리는 방식에 대하여

 

작가조명

김유담 소설집 『돌보는 마음』

이지은 / ‘퀸 핀’의 마음

 

문학초점

이 계절에 주목할 신간들 / 김다은 박경희 양경언

 

산문

천현우 / 고향을 떠나기 전 (내가 사는 곳 2)

 

촌평

윤정숙 / 조효제 『침묵의 범죄 에코사이드』

김용휘 / 김용옥 『용담유사』

김내훈 / 신진욱 『그런 세대는 없다』

김성경 / 이희영 『경계를 횡단하는 여성들』

정용숙 / 크리스티나 램 『관통당한 몸』

곽형덕 / 나리타 지히로 『오키나와 반환과 동아시아 냉전체제』

김미정 / 그레이엄 하먼 『예술과 객체』

황선우 / 이자람 『오늘도 자람』

황인찬 / 김사인 외 『그 순간 문 열리는 소리가 났다』

장진성 / 조규희 『산수화가 만든 세계』

송상기 / 알레호 까르뻰띠에르 『잃어버린 발자취』

 

 

창비의 새책

독자의 목소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