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비시선 472

일하고 일하고 사랑을 하고

최지인  시집
출간일: 2022.03.18.
정가: 9,000원
분야: 문학,
전자책: 있음

 

 

슬픈 마음이 안 슬픈 마음이 될 때까지

 

 

 

 

손을 높이 들고, 우리 세대의 목소리를!

 

 

뜨거운 사랑의 힘으로 쓴 리얼리스트의 시

 

 

한국사회를 살아가는 청년의 일과 사랑과 아픔을 가슴에 와닿는 적확한 언어로 표상해온 ‘리얼리스트’ 최지인 시인의 두번째 시집 『일하고 일하고 사랑을 하고』가 창비시선으로 출간되었다. 첫 시집 『나는 벽에 붙어 잤다』(민음사 2017) 이후 5년 만에 펴내는 이번 시집에서 시인은 2020년대 ‘비정규직 청년 세대’의 삶과 현실의 공간을 넘나드는 다성적인 목소리로 들려준다. 부조리한 세상의 그늘에서 위태롭고 불안정한 생활을 꾸려가는 청춘들의 모습을 삶의 구체적인 경험에서 우러나는 진솔한 목소리와 날것 그대로의 생생한 언어에 담아냈다. 열심히 일해도 달라질 게 없는 세상에서 꿈꿀 기회조차 잃어버린 이 시대 청춘들의 고백에 귀 기울이다보면 가슴 한편이 시려온다. 2020년 조영관문학창작기금 수혜작 「늪지의 개들」을 포함하여 41편의 시를 3부로 나누어 실었다.

 

 

 

 

막막한 세상에 던지는 독한 한 방,

 

그럼에도 우리는 살아 있을 것이다

 

 

 

삶의 궁지에 몰린 지금의 청년 세대는 세상에 대한 분노와 슬픔을 안고 살아간다. 세상은 온통 숨 막히는 곳이다. “극빈의 생활을 하고/배운 게 없는 사람은/자유가 뭔지도 모른다”(「숨」) 같은 망언이 쏟아지고 혐오와 차별을 부추기는 끔찍한 현실이 펼쳐지고 있다. “죽을힘을 다해” 일해도 “쓸모없다는 이유”(「살과 뼈」)로 비인간으로 내몰리는 이 폭력적 현실 앞에서도 시인은 절망하지 않는다. “세상을 바꿀 수는 없으나 꿈을 꾸고”(이승윤, 추천사) “슬픈 마음이 안 슬픈 마음이 될 때까지”(「1995년 여름」) 노래한다. “자주 절망하되 희망을 잃지 말거라”(「세상이 끝날 때까지」)라는 외할머니의 말씀을 몸에 새기기도 한다.

 

그리고 시인은 세상을 향해 질문을 던진다. 구제 불능한 컴컴한 세상, 많은 이들을 떠나보낸 후 던지는 시인의 외침은 독하지만 희망과 맞닿아 있다. 그것은 꿈을 포기하라는 현실에 대한 저항이자, 함께 살아보자는 독려다. 시인이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사람의 체온, 혼자가 아니다, 쓸모없지 않다”(「포스트 포스트 펑크」)라고 말하는 이유도, “우리는 죽지 말자 제발/살아 있자”(「제대로 살고 있음」)라고 다독이는 이유도 바로 이 때문일 것이다. 그러니 이것을 “사랑이라고 말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이경수, 해설)

 

 

 

오늘도 열심히 일하고, 사랑하고, 희망하는

 

이 시대의 새로운 리얼리스트

 

 

 

최지인은 요즘 젊은 시인들과는 별다르게 현실에 밀착하여 자기 세대의 어법으로 리얼리즘의 시 정신을 갱신해나간다. 최지인의 시에 많은 젊은 독자들이 공감하고 함께 웃고 웃는 이유도 그가 현실에 발딛고 있기 때문이다. 그의 시는 유난히 또렷하고 명징한 목소리로 마음에 와닿는데, 비단 청춘들뿐만 아니라 이미 그 시기가 지나간 독자들도 자신의 지난날을 반추하며 이 시집을 오래오래 붙잡게 된다. 그것이 이 시집이 가진 힘이자, 리얼리스트로서 최지인이 그려내는 절절한 삶의 아름다운 풍경이다.

 

최지인은 “마지막의 마지막까지/살아남겠다”는 결연한 다짐과 “죽음 앞에서/절규하듯 시를 토해내는”(「세상의 끝에서」) 뜨거운 사랑의 힘으로 시를 써나갈 것이다. “희미하고/꿈만 같”고 “아무것도/보이지 않”(「몇가지 요구」)는 세상의 어둠 속을 한걸음 한걸음 헤쳐나가며 오늘도 열심히 “일하고 사랑하고 희망할 것”(시인의 말)이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시집은 읽는 이들 각자의 고민과 사랑과 외로움에 알맞게 가닿을 것이다.

 

 

목차

제1부슬픈 마음이 안 슬픈 마음이 될 때까지

 

 

 

빛의 속도

 

죄책감

 

보드빌

 

기다리는 사람

 

 

언젠가 우리는 이 원룸을 떠날 테고

 

크로키

 

1995년 여름

 

더미

 

문제와 문제의 문제

 

세상의 끝에서

 

코러스

 

마카벨리전(傳)

 

 

 

제2부이것도 사랑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

 

이번 여름의 일

 

컨베이어

 

2010년대에게

 

몇가지 요구

 

포스트 포스트 펑크

 

동시대 문학

 

생활

 

혈액형

 

늪지의 개들

 

살과 뼈

 

진북

 

Love in a Mist

 

열개의 귀

 

 

 

제3부우리는 죽지 말자 제발 살아 있자

 

도시 한가운데

 

서사

 

파수

 

제대로 살고 있음

 

사랑과 미래

 

기도

 

최저의 시

 

한치 뒤

 

예견된 일

 

End Note

 

시민의 숲

 

겨울의 사랑

 

세상이 끝날 때까지

 

이것이 고생한, 아니 고상한 이야기였다면

 

 

 

해설|이경수

 

시인의 말

 

 

저는 지금 최지인 시인이 건네준 시집 『일하고 일하고 사랑을 하고』의 초고 뒷면에 직접 추천사를 적어보고 있습니다. 문학을 전혀 알지 못하는 이에게 시집의 등을 맡긴 용기에 일단 박수를 보냅니다. 하나 그렇기에 저는 이 시집이 얼마나 위대한 시집인지에 대하여 객관적으로 문학적으로 드릴 말씀이 없습니다. 그 부분은 전략 실패. 다만 제가 적을 수 있는 것은 우리가 미완성 시, 미완성 노래 들을 서로에게 미친 듯이 보냈던 그 어느 날들의 새벽녘, ‘그리운 금강산’ 한편에 앉아 시가 이렇고 음악이 이렇고 세상이 이렇고를 떠들던 무수한 밤들, 우리 각자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는 허황된 마음을 떠나보낸 다음에야 알게 되어서 다행이야 하면서 주고받았던 대화 같은 것들뿐입니다. 최지인 시인은 세상을 바꿀 수는 없으나 꿈을 꾸고, 일이라는 굴레를 회의하면서도 일을 하고, “이것도 사랑이라고 말할 수 있을까”(「동시대 문학」) 싶지만 사랑을 하고, “슬픈 마음이 안 슬픈 마음이 될 때까지”(「1995년 여름」) 슬퍼하는 사람입니다. 그리고 다행스럽게도 시집에 그것이 고스란히 담겨 있습니다. 가까이 있는 사람이 동의할 수 있는 삶을 작품에 담아낸다는 건 사실 굉장한 일입니다. 보통의 작품은 가까운 사람들이 보기엔 꽤나 많은 삶의 덧셈이나 뺄셈으로 이루어지기 쉬운 법이니까요. 그동안 수도 없이 쓰이고 버려진 시들 가운데에서 끝끝내 완성된 이번 시집에 경의를 표합니다. 끝끝내 살아낸 최지인 시인의 삶에 경의를 표합니다. 우리는 평소 서로의 모든 말에, 모든 삶의 방향성에 동의하지는 않지만 저는 그의 이번 시집이 ‘마스터피스’라는 사실에는 동의합니다. 찬성합니다. 재청합니다. 이의 있으십니까? 이의는 기각! 최지인 시인의 시가 이 책을 펼쳐든 여러분의 마음과 상황과 고민들에 알맞게 가닿기를. 이상, 태어나 시집이라곤 열권도 채 안 읽어본 이의 추천사였습니다. 이승윤 음악인

저자의 말

그 무엇도 무너뜨릴 수 없는 것이 있다. 일하고 사랑하고 희망할 것이다.  

2022년 3월

최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