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살아갑니다. 내일은 오늘보다 조금 더 좋아질 거라는 희망으로.”
가슴을 울리는 문장으로 돌아온 안도현 신작 산문집
‘사람의 마을’을 더 따듯하게 일구는 ‘당신’들에 대한 이야기
지난해 8년 만에 선보였던 시집 『능소화가 피면서 악기를 창가에 걸어둘 수 있게 되었다』(창비 2020)로 한층 무르익은 통찰과 시적 갱신을 보여주었던 안도현 시인이, 단독 산문집으로는 『그런 일』 이후 5년 만에 신작 산문집을 펴냈다. 2015년부터 2021년 최근까지 써온 글들을 묶은 이번 산문집은, 시를 쓰지 않았던 시기에 만난 사람들에 대한 곡진한 사연, 집을 지어 경북 예천으로 귀향한 뒤 삶의 속도를 늦추고 자연 속에서 살아가는 모습, 사랑하는 시와 책에 대한 이야기 등을 차분하고도 살뜰한 문장에 담아 우리의 바쁜 매일을 돌아보게 하며 이 책을 읽게 될 수많은 독자의 가슴을 또 한번 울릴 것이다.
코로나19로 더욱더 비틀려가는 우리 삶을 섬세한 눈으로 바라보는 시인은 더 작고 느린 것의 가치를 통찰력 있는 언어로 풀어놓는다. 자연 속에서 만난 새와 식물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불러보며 시인은 바쁘게 살았기 때문에 지난날 잊어버린 것들을 되찾아가는 회복에 대해 이야기한다. 우리가 잊어버리고 또 잃어버린 것은 지난날 만났던 아름다운 사람이자 자연이고 그들과의 관계이며 세월에 잊힌 시 한편, 노래 한소절이기도 하다. 시인이 만난 ‘그 모든 당신’들은 이렇게 우리에게 다시 찾아와 ‘사람의 마을’을 한층 더 따듯하게 일궈낼 것이다.
섬세하고 통찰력 있는 언어로 그려낸
사람과 자연 그리고 삶
‘좋은 사람들’이라는 부제를 붙인 1부에는 시인의 인생에 영향을 끼쳐온 사람들 20명의 이야기를 묶었다. 시인 박성우 박기영 안상학, 화백 김병기 유휴열 등 명사부터, 제자와 친구, 지역에서 교류한 일반인까지 두루 다양한 사람들의 면모가 담겼다. 고등학교 시절 은사인 도광의 선생의 이야기를 담은 글에서는 시인이 처음 시를 쓰기 시작한 습작 시절을 엿볼 수 있다. 시인이기도 한 선생의 시가 시인의 시세계에 어떤 영향을 끼쳤는지를 이야기하며 자신을 처음 시인으로 만들어준 순간에 대해 고백하기도 한다. 또 전교조 활동을 하다 해임된 이후 다시 아이들을 가르치게 된 고등학교에서 만난 제자 이정민의 이야기를 담은 글에서는 제자가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은 뒤 암투병을 하기까지 과정을 지켜본 순간순간들을 풀어놓는다. “몸이 고장 나면서 나는 비로소 멈추는 법을 알았다”라는 제자의 글을 인용하며 시인은 “숨 고르기가 필요”한 삶의 속도에 대한 이야기를 독자에게 전한다. 1부에는 이렇듯 시인이 맺은 인연 곳곳에 사람살이에 대한 성찰이 담겨 있거니와 그 자체로도 훈훈하고 재미있는 우리네 삶의 이야기이기도 하다.
2부 ‘몸속 잎사귀를 꺼내 흔드는 날’에는 어느새 시인의 삶에 주요하게 자리 잡은 ‘식물성’의 눈으로 바라본 비틀린 세계의 현실, 그토록 간결해진 마음으로 읽는 시와 책 이야기가 담겼다. 또 올여름 돌아가신 어머니의 약전을 쓰고 그것이 한편의 시로 만들어지기까지의 이야기, 고향 예천에 집을 짓고 마당에 돌담을 쌓으며 “이 세상에 쓸모없는 돌덩이는 하나도 없다”는 귀한 발견을 한 순간, 아침저녁으로 지저귀는 새소리를 들으며 “새들의 이름과 거처와 안부를 잘 아는 사람이 되고 싶다”라고 다짐하는 목소리도 접할 수 있다. 그가 작년에 펴낸 시집에서 「식물도감」이라는 독특한 연작을 선보인 연유를 이번 산문집에서 찾아볼 수 있다. 이런 순한 마음은 자연스레 좋은 시를 발견하는 눈으로도 발현되는데, 논산 한글학교 어르신들이 쓴 시를 인용한 「시란 무엇인가」라는 글에서는 단순해지는 법을 잊어버렸기 때문에 우리가 잃어버린 세상을 보는 어떤 태도에 대해 이야기하기도 한다.
3부 ‘그래도 살아갑니다’에는 지금의 현실을 딛고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에 대한 고민이 담겨 있다. 그중에서도 2018년 남북정상회담 때 특별수행단으로 평양 땅을 밟았던 기행문 「평양은 멀지 않다」가 특히 눈길을 끈다. 시인이 처음 먹어본 북쪽 음식의 이름들은 마치 시 속의 낯선 시어처럼 들리기도 한다. 백두산에서는 구절초로 짐작되는 식물의 씨앗을 봉투에 넣어오기도 했다는데, 시인의 고향에서 싹을 피우게 될 식물의 모습을 언젠가 시인의 시에서 만나볼 수 있을지도 모를 일이다.
이번 산문집에서 시인은 주로 듣는 쪽에 서 있다.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새와 식물, 동물의 말을 그저 듣는다. 그렇게 자연의 섭리를 따라가며 계절의 흐름을 듣다보면 발견하게 되는 삶의 작은 재미도 있다.
물메기탕 옆에 숭어회가 빠질 수 없다. 겨울에는 살이 볼그레한 숭어회를 한 접시 같이 주문해야 제격이다. 소주도 물론 빼놓으면 안 되겠지. 햇살이 따듯해지고 냉이꽃이 피기 시작하는 봄에는 주꾸미와 도다리탕이 좋고, 여름철엔 갑오징어회, 가을에는 전어회와 꽃게무침이 그만이다.(「부안시장에서 물메기탕 잘 끓이는 장순철 여사」 36면)
제철 음식을 찾아 즐기는 시인의 발길을 가만히 따라가다보면 “봄에는 꽃밭에 심을 것들을 궁리하고, 가을에는 봉투에다 꽃씨들을 받고, 헛간 벽에 무시래기를 내걸고” 산다는 느린 삶의 속도를 만나게 된다. 철 따라 제철 음식을 먹고 봄에는 씨앗을 뿌리는 일은 우리 삶을 조금 더 정성스럽게 살아보자는 궁리이다. 그리고 시인은 말한다. “말수를 줄이고, 크게 소리 지르지 않고 시간을 보낸다. 내일은 오늘보다 조금 더 좋아질 거라는 희망으로.”(「책머리에」) 자연을 돌보는 시인의 섬세한 눈과 마음을 따라갈 때 우리가 사는 세상은 조금 더 나아지고 따듯해질 것이다.
책머리에
1부_좋은 사람들
큰절을 올리고 싶은 통영의 어른 제옥례 선생
걷고 또 걷는 맑은 선비 김기현 선생
‘문학동네’ 손 떼고 떠나는 강태형 대표
부안시장에서 물메기탕 잘 끓이는 장순철 여사
전북 익산 왕년의 주먹대장 조석기 사장
애써 심심하게 살고 싶은 박성우 시인
시의 첫걸음을 가르쳐주신 도광의 선생님
5월을 노래하는 가수 김원중
모악산 아래 사는 청년작가 유휴열 화백
나보다 시를 잘 쓰는 열살 꼬마시인 이건
나를 두목이라 부르는 내 친구 정진섭
살아 있는 기억의 역사, 100살의 김병기 화백
딱따구리에 미친 남자 김성호 교수
돌아온 탕아 같은 시인 박기영
영락없는 안동 촌놈 안상학 시인
큰 귀를 가진 따뜻한 진보교육감 김승환
아름답고 쓸모없기를 꿈꾸는 시인 김민정
무한히 착하고 매사에 지극한 시인 유강희
암수술 이겨낸 봄꽃 같은 제자 이정민
내가 아는 가장 진보적인 할머니 선쌍임 여사
2부_몸속 잎사귀를 꺼내 흔드는 날
임홍교 여사 약전
구리실과 바디힌잎나무
남방큰돌고래 보호구역
돌담을 쌓으며
동시를 읽는 겨울
마당을 나간 암탉
멧돼지 생존 입장문
새들의 안부를 묻는다
시란 무엇인가
시와 식물
아, 변산반도
팽나무에 대한 편애
책을 읽지 않는 어른
자두와 추리의 관계
영양 수비면 자작나무 숲에서
초간정 가는 길
광기와 윤리
내성천을 때리지 말아주세요
숲과 나무들의 장례
3부_그래도 살아갑니다
평양은 멀지 않다
배차적과 배추적과 배추전
너를 마지막으로 나의 청춘은 끝이 났다
때를 맞추는 일
권태응 선생님께 드리는 편지
몇 무릎 몇 손이나 모아졌던가
우물에 빠져 있는 동시
문학 자산의 기억 방식
세계는 배반하면서 성장한다
40년 동안 끌어안고 살던 것들을 트럭에 싣고 전주에서 예천으로 옮겨 왔다. 작년 초부터 마당과 텃밭이 있는 외딴집에서 산다. 풀이 너무 빨리 자라 서리가 내리기 전까지는 풀들과의 전쟁이다. 좋은 분들이 와서 닭장을 만들어준 덕분에 열댓마리 닭들이 쑥쑥 자라고 알도 잘 낳는다. 연못의 잉어 두마리가 사랑에 빠졌다. 수백마리 새끼를 쳐서 나는 수백마리 잉어 새끼의 보호자가 되었다. 연못에 먹이를 던질 때마다 그들의 주둥이가 뾱뾱 소리를 낸다. 틈이 나면 차를 끌고 돌을 주우러 다니고, 울타리 가까이 내려오는 고라니의 거동을 엿보고, 봄에는 꽃밭에 심을 것들을 궁리하고, 가을에는 봉투에다 꽃씨들을 받고, 헛간 벽에 무시래기를 내걸고, 말수를 줄이고, 크게 소리 지르지 않고 시간을 보낸다. 내일은 오늘보다 조금 더 좋아질 거라는 희망으로. 코로나19로 세상의 발걸음이 멈추었거나 세상의 관절이 뒤틀려 있다. 이 와중에 간신히 책 한권을 낸다.
2021년 12월 예천에서
안도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