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비신서 93

서사극 마당극 민족극

정지창  지음
출간일: 1989.04.25.
정가: 6,800원
분야: 문학, 평론 도서상태: 품절
브레히트의 서사극이론을 비롯한 독일 문학과 연극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우리 민중연극에 대해 애정어린 비평작업을 해온 정지창 교수의 첫 평론집. 민중연극·민족연극에 관한 논문, 브레히트, 뷔히너 등 독문학 관련 논문, 80년대의 화제의 공연평 등 모두 3부로 구성되었다.

목차

머리말

 

제1부

마당극의 성과와 과제

민중연극의 대중성과 교훈성―브레히트와 렌드라

모더니즘 연극의 수용과 극복

마당극의 현단계

한국사회의 저항운동과 마당극

80년대 영남의 민족극

 

제2부

문학과 역사의식―전후 독일의 망명문학 논의를 중심으로

뷔히너 문학의 서사성

서사극과 리얼리즘―브레히트의 『억척어멈과 그 자식들』을 중심으로

브레히트의 산문세계

브레히트를 어떻게 볼 것인가―민중성과 리얼리즘

전후 독일 노동문학의 전개 Ⅰ―`61년 그룹`과 막스 폰 데어 그린

역사 속의 문학과 문학 속의 역사

제3세계와 문화운동

 

제3부

연극의 서사화 경향

민중연극과 현장공연

연극의 사회적 역할과 책임

「고도를 기다리며」

고전의 재창조에 실패한 「서울방자」

현실의 쓰라림과 무대의 편안함

문화의 민주화와 마당극

「꽃다운 이내 청춘」과 「행복은 성적순이 아니잖아요!」

진실을 밝히는 용기와 지혜

대구시민의 `문화장터`를 돌려달라

지리산 통일장승굿

검열시대의 한국영화

민중미술운동과 판화달력

민정기와 상투적 이미지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