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억할 수 없는 것을 기억할 수 있다면
쓸 수 없는 것까지 쓸 수 있다면”
허무의 심연 속에서 방황하는 기억을 붙드는 빛나는 시편
올해로 등단 40년이 되는 고형렬 시인의 열한번째 시집 『오래된 것들을 생각할 때에는』이 창비시선 444번으로 출간되었다. 제2회 형평문학상 수상작 『아무도 찾아오지 않는 거울이다』(창비 2015) 이후 5년 만에 펴내는 이번 시집에서 시인은 담백하면서도 진중한 시적 성찰과 시공간의 경계를 넘나드는 무한대의 상상력이 빛나는 형이상학적 사유의 세계를 펼쳐 보인다. 2018년 유심작품상 수상작 「어디서 사슴의 눈도 늙어가나」를 비롯하여 삶에 대한 회의와 허무로 가득 찬 98편의 시를 4부로 나누어 실었으며, 말미의 산문 「플랫폼에 내리는 시, 다시 떠나는 열차」는 ‘시란 무엇인가’를 탐구해온 고뇌의 흔적이 담긴 시인의 시론으로 곱씹어 읽을 만하다. 등단 이후 끊임없이 시적 갱신을 도모해온 시인의 “깊이와 높이와 길이에 놀라서 세번 탄식”(진은영, 추천사)하게 되는 묵직한 시집이다.
시와 삶을 고뇌하는 예민한 투시력
아름다운 절망을 그려내는 농밀한 언어
전통 서정에서 한발 비켜나 독특한 시세계를 개척해온 고형렬의 시는 늘 새롭다. 단어 하나도 허투루 쓰지 않고 한편 한편 공들이는 치열한 시정신을 엿볼 수 있다. 관습을 깨뜨리는 시적 발상과 특유의 개성적인 어법은 우리의 시적 감각과 정서를 일깨우고자 줄기차게 새로운 형식을 실험하는 시인의 전략일 것이다. 그래서인지 “시대가 저물어도 새로운 작품은 오지 않는다”(「그는 작은 사진 속에서」)는 시인의 말이 더욱 가슴 깊이 와닿는다. 삶의 비의를 탐색하며 생의 근원을 찾아가는 고형렬의 시는 언제나 상상의 폭을 넓혀가며 예민한 투시력과 농밀한 언어로 새롭게 쓰인다.
언어에 대한 인식이 남다른 시인은 거대한 혼돈의 세계에서 획일화되고 훼손된 채 “불안의 마스크와 우울의 가면을 쓴”(「서울의 겨울을 지나가면」) 긴장과 불안의 언어를 생명력 넘치는 활력의 언어로 회복하고자 한다. 다만 “죽어 있는 것처럼 살아 있을 뿐”(「오늘 망각의 강가에」)인 생의 덧없음 속에서도 시인은 불안과 고통으로 가득 찬 부조리한 현실을 넘어서는 이상의 세계를 꿈꾼다. 역설적으로 절망과 허무의 힘을 통해 “저 미래의 끝을 향해 노래하며 죽고 살며”(「물고기의 신화」) 시를 쓴다. 그렇다면 “모든 삶의 뒤끝은 쓰라린 후회만 남는 법”(「나여, 오늘 촉석루나 갈까요」)일지라도 “아름다운 것이 맨 나중에 온다면/가장 아름다운 시는 모든 것의 맨 끝에/서 있어도 괜찮”(「아로니아의 엄마가 될 수 있나」)을 것이다.
말미에 해설 대신 붙인 산문에서 시인은 “현실 속에 갇힌 영혼의 기억에게 마음의 기척들이 언어로 나타나길 바란다”고 썼다. 시인의 바람대로 “시는 죽음 속에서 흙을 밀어올리고 피어날 것”(「시의 옷을 입다」)이다. 그리하여 “계속이란 말이 가장 시적인 언어”(「노크」)임을 알기에 시인은 계속 잊고 기억하며, “불가능한 생각들을 불러 모”아 “기억할 수 없는 것을 기억”하고 “쓸 수 없는 것까지”(「거미막을 밟다」) 쓸 것이다. 어쩌면 그것이 “황량하고 폭력적인 문법 사회”에서 순정한 마음의 ‘시적인 인간’이길 꿈꾸며 살아온 시인으로서의 운명적 삶이기도 할 것이다. “시인이 되는 것보다 시가 되고 싶다”는 시인은 그렇게 생의 의미를 찾아 “우리의 절망과 늙음을 정화”(「서 있는 불」)하는 촛불로 일어나 혼돈의 세상을 밝히는 ‘시’가 된다.
제1부 가까운 그 빛의 추억 같은
물고기의 신화
풀편(篇)
파도의 시
사북(舍北)에 나갔다 오다
흰 구름과 풀
돌의 여름, 플라타너스
약(弱)
건너갈 수 없는 그 빛을 잡다
나뭇가지와 별을 쳐다보며 1
나뭇가지와 별을 쳐다보며 2
과학의 날
감자
전철 인생
은
용문산엔 노숙자가 없다
UFO
이미 나는 그때 죽었다
멸치 1
두마리 고양이
종로 5가에서 사가지고 온 달리아 뿌리
새들의 죽음
다시 오지 않는 길에 서서
오늘 저녁 오리들은 뭘 먹지
그 집 아이
제2부 비선대와 냉면 먹고 가는 산문시
북천은 너무 오래되었기 때문에
중부지방에서 살고 있다
흰 비둘기 아파트
203호 우편함에는
거주 이전의 자유에 대한 신청
그는 작은 사진 속에서
비선대(飛仙臺)
비선대와 냉면 먹고 가는 산문시 1
헤어지다, 그 겨울 혜화역에서
아무래도 알 수 없는 슬픔으로
서울의 겨울을 지나가면
써지지 않는 시 한편
어디서 사슴의 눈도 늙어가나
외설악
나여, 오늘 촉석루나 갈까요
비선대와 냉면 먹고 가는 산문시 2
하나의 구멍과 소외된 아흔아홉의 구멍
선풍기 나라
거미막을 밟다
천장을 쳐다보다
롤러코스터, 어디까지 보이니?
밤하늘의 별들이 좀더 밝았으면
흰 구름의 학이 되어
벌써 2020년대가 왔어요
제3부 먼지 사람들
사람 비스킷
저녁의 상공(上空)
죽은 시인의 옷
멸치 2
먼지의 패러독스
스티코푸스과의 해삼
노크
아버지 게놈 지도 한장
흰 구름과 북경인(北京人)
물방울, 물방울, 오직 물방울만
너의 나라 다도해에서
고층 지붕 위의 남자
또 공항으로 갈 때가 되었나
가족의 심장 속에서
아로니아의 엄마가 될 수 있나
이층을 쳐다보는 논개구리
시인별을 마주 보는 밤
오늘 망각의 강가에
표선(表善)에 간 적 있다
키르기스스탄의 달
사서함의 가벼운 눈발
서울, 어느 평론가와 시인과 함께
서울 사는 K시인에게
보청기 사회
제4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있었습니다
연한 주황색
도무지 슬프지 않은 어떤 시간 속에서
둥그런 사과
밤의 밤을 지나가다
밤의 땅속으로
수저통
날뛰는 시간의 치마(馳馬)
그 여자 기억상실 속에서
지네
아직도 생각하는 사람에 대한 착각
영혼과 싸움
둥근 열매를 쳐다보다
엉뚱하게 태양에게
죽은 어느 청춘의 도서관에서
서 있는 불
공포의 시집이 도착한다
인형괴뢰사
총알오징어
꽃씨
폐렴의 시대
내부의 나뭇가지
어느 빌딩의 일조권에 대해
부패의 세계 속에서는
그 도시, 백층 기념 축시
슬픈 거실(居室)
시의 옷을 입다
시인의 산문
시는 믿을 수 없는 것들 속에서 존재한다. 경황없는 세월 속에서 한편의 시를 쓴다는 것은 멈추어본다는 포즈이며, 한편의 시를 발표한다는 것은 또 부단한 떠남의 결의이다. 시는 플랫폼에 내리고 열차는 다시 떠난다. 방황은 시 앞에서 머뭇거린다. 언제나 그는 비정치적이면서 정치적이었고 본질적이면서 초월적이었다. 땅에 떨어지는 빠른 빗방울처럼 재촉해서 남은 길을 시여, 어서 뛰어가자. 바람이 뿔을 뚫고 가듯이 말이다. 그가 도착하지 않아도 시는 이미 그곳에서 살고 있는지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