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학교 국어 교과서 수록 ‘연극 단원’을 위한 완벽 길잡이★
표현하는 쾌감과 상상하는 기쁨을 일깨우는 교실형 연극
2015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초등학교 5, 6학년 국어 교과서에 ‘연극 단원’이 신설되었다. 새로운 교육과정에 발맞추어 연극을 처음 접하는 어린이들이 낯선 장르에 대한 부담을 느끼지 않고 연극의 즐거움을 맛볼 수 있도록 돕는 ‘재미있다! 어린이 연극’ 시리즈를 선보인다. 1권으로 어린이가 쉽게 따라 할 수 있는 연극 가이드북을 펴내고, 이후 문학적 완성도가 높고 어린이 독자의 눈높이에 알맞은 희곡집을 이어 나간다. 어린이들은 짧고 재미있는 희곡을 바탕으로 연극을 완성하며 성취감을 느끼고, 다른 사람들과 협동하는 가운데 자기표현력과 소통 능력을 키울 수 있을 것이다.
‘재미있다! 어린이 연극’ 시리즈 3권 『이상한 게임』은 특별한 무대 장치나 소품 없이 어린이들이 교실에서 꾸릴 수 있는 희곡 세 편을 담았다. 일상의 대화와 닮은 자연스러운 대사와, 감정을 자기 방식대로 표현할 수 있도록 설명된 지문을 통해 연극이 줄 수 있는 해방감을 한껏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어린이들에게 연극의 재미를 발견하게 해 주는 길잡이를 통해 교실 안팎에서 신나는 연극 수업을 만들어 가기를 바란다. _최지영(한국교육연극학회 부회장)
우리 반 교실이 무대가 되고, 평범한 물건이 소품이 된다!
연극인 오세혁이 제안하는 교실형 연극
2011년 서울신문과 부산일보 신춘문예 희곡 부문에 동시에 당선된 후 활발하게 작품 활동을 이어 온 연극인 오세혁의 첫 어린이 희곡집이다. 오랫동안 공연을 꾸려 온 경력 중 적지 않은 부분을 차지하는 어린이 연극, 뮤지컬 경험이 담뿍 담겼다.
『이상한 게임』에 수록된 희곡들을 무대에 올린다면, ‘교실형 연극’이라고 이름 붙일 수 있을 것이다. 세 편의 희곡을 읽은 어린이들은 교실에서 눈에 보이는 물건으로 뚝딱 무대를 꾸릴 수 있다. 작가가 명쾌한 이야기 구성과 단순한 대사, 지문을 통해 자유로운 해석이 가능하도록 열어 두어, 독자가 자기다운 연기와 독서를 즐길 수 있도록 꾸민 점도 교실이라는 공간적 특성과 잘 어울린다. 어린이 독자들이 함께 모여 아이디어를 주고받으며 직관을 수집하고 고민을 이어 나가다 보면 어느 순간 몸에 꼭 맞춘 듯 캐릭터와 자신이 착 달라붙어 움직이는 쾌감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재미있게 무대를 꾸려 보세요. 희곡에 집이 나온다고 진짜 집을 지을 필요는 없지요. 교실에 있는 의자와 책상으로 집을 만들어 볼까요? 칠판에 ‘안방’이라고 쓰면 안방이 되고, ‘거실’이라고 쓰면 거실이 되지요. 나뭇가지로 운동장에 방을 그릴 수도 있어요. 사물함에 먹을 것을 넣어 두면 냉장고가 되고요, 세숫대야에 물을 받아 놓으면 세면대가 되지요. _「작가의 말」 중에서
목청껏 소리치고 마음껏 내달려라!
에너지와 상상력으로 완성하는 세상에서 가장 이상한 연극
― 「이상한 게임」 「이상한 올림픽」 「이상한 고백」
『이상한 게임』에 담긴 세 희곡에는 작지만 재미있는 공통점이 있다. 바로, 느낌표가 자주 등장한다는 것이다. 쉽게 들떠 화도 잘 내고 감탄도 잘 하는 인물들의 감정을 따라 대사를 읽다 보면, 자신도 모르는 사이 목소리와 동작이 한껏 커지고 이는 온종일 얌전히 있기를 강요받느라 몸속에서 펄펄 끓던 에너지의 건강한 분출로 이어진다. 이러한 특성은 독자가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자유롭게 열린 채 제시된 무대 구성 및 주요 지시문에 더해져 어린이들이 몸속 에너지뿐 아니라 가슴속, 머리 속 깊은 곳에 갇혀 있던 케케묵은 감정 에너지를 시원스레 해소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상한 게임」에서 부모님이 항상 늦게 귀가해 혼자 외로워하면서도 그 감정을 직시할 수 없던 ‘지호’가 친구들이 안방의 물건들로 만들어 낸 ‘마왕’에 맞서 자신은 부모님의 상황을 이해할 수 있다고 소리치는 장면이나, 서로에게 한 가지씩 고백할 것이 있는 아이들이 얽히고설키며 상황이 복잡해지는 「이상한 고백」의 대화 장면들은, 어린이들이 진정한 의미의 평화와 행복을 만끽하기 위해서는 파도치는 온갖 에너지들을 경험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는 사실과, 좋은 연극은 그 카타르시스 체험을 훌륭하게 조력해 줄 수 있다는 점을 느끼게 한다.
작가의 말
이상한 게임
이상한 올림픽
이상한 고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