끝내 빛날 우리의 내일을 위하여!
우리 문학의 현재이자 미래, 신동엽문학상 역대 수상자들이 한자리에 모이다
2019년 4월 신동엽(1930~1969) 시인의 50주기를 맞아 역대 신동엽문학상 수상자 31인의 신작 작품집 2종이 출간되었다. 하종오 외 20인이 총 63편의 신작시를 묶은 시집 『밤은 길지라도 우리 내일은』과 공선옥 외 9인이 총 10편의 신작소설을 묶은 소설집 『너의 빛나는 그 눈이 말하는 것은』이다. 한국문학사에 중대한 발자취를 남긴 시인을 되새기는 기획인 동시에 우리 문학의 현재이자 미래인 31인 작가들의 작품을 한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반가운 기획이다.
시인의 유족과 창비는 신동엽 문학정신을 기리고 유망한 젊은 작가들의 창작의욕을 북돋기 위해 지난 1982년 신동엽창작기금(이후 신동엽문학상으로 변경)을 제정하고 지금까지 운영해왔다. 초대 수상자인 고(故) 이문구 선생을 비롯해 2018년 제36회에 이르기까지 총 51인의 수상자를 배출한 신동엽문학상은 이내 한국문학의 청년정신을 상징하는 이름이 되었다. 이번 기념 작품집에는 “너의 빛나는 그 눈이 발하는 것은 (…) 새벽”이라고, “밤은 길지라도 우리 내일은 이길 것”이라고 말했던 시인처럼이나 빛나는 눈과 내일을 꿈꾸는 목소리들이 수십가지 형형색색으로 담겨 있다.
“너의 눈은 밤 깊은 얼굴 앞에 빛나고 있었다”
어둠을 밝히는 열개의 이야기
신작소설집 『너의 빛나는 그 눈이 말하는 것은』의 제목은 신동엽 시인의 시 「빛나는 눈동자」의 한 구절에서 가져왔다. 시인은 어두운 밤 앞에서도 고고히 빛나던 눈동자와 정신에 대해 이야기한다. 깊은 밤에도 빛나던 눈동자처럼 이 소설집에는 어둠을 밝히는 여명과도 같은 열개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조해진의 「경계선 사이로」는 신문사에서 파업 중인 선배 기자들의 빈자리를 채우기 위한 목적으로 채용된 수습기자 ‘연진’의 내면에서 벌어지는 갈등을 특유의 날카로운 윤리감각으로 그려낸다. 김정아의 「잃어버린 소년」은 수십년 전 “국가의 명령”이라는 이유로 사람들을 복지원으로 보내 폭력에 내몰리게 만들었던 ‘구영진’의 목소리를 서늘하게 들려주며, 박민규의 「마리아 말로(María Malo)」는 17세기 에스빠냐로 원정 출산을 떠난 ‘마리아’가 결국 한 사람으로서 자신의 이름을 찾는 모습을 보여준다. 최진영의 「그것」은 중심에서 떨어져나와 혼자가 되어버린 ‘나’가 스스로 원하는 제 모습을 찾기까지 과정이 긴 여운을 남기며, 김하기의 「장례식장에서」는 어린 시절을 함께한 친구의 갑작스러운 죽음이 불러온 과거가 마치 현재인 듯 생생하게 펼쳐진다. 침몰하려는 유람선에 빗대 시효가 다한 현대문명을 보여주는 오수연의 「유람」은 그 이후 인류가 남길 유산에 대해 이야기한다. 공선옥의 「오후 다섯시의 흰 달」에는 하나뿐인 딸이 독립하고 혼자가 되어버린 퇴임교수 ‘윤’이 고독한 일상 속에 등장한 다섯살 아이를 납치하려는 계획이 서늘하게 그려진다. 이어지는 김금희의 「깊이와 기울기」에는 제주 부속섬의 예술인 레지던스에서 만난 사람들이 모여 고장난 자동차를 몇날 며칠간 수리해 마침내 시동을 거는 장면을 감동적으로 보여준다. ‘함께’라는 이름의 아름다운 연대는 김종광의 「당산뜸 이웃사촌」에서 이웃 간의 부대낌으로 익살스럽게 그려지고, 김미월의 「가장 아름다운 마을까지 세시간」에서는 혼자 프랑스를 여행하고 돌아온 ‘양희’의 이야기를 통해 “혼자 간 곳이 가장 아름다울 수는 없”다는 진실을 이야기한다.
마치 “내 옆에는 네가 네 옆에는 또다른 가슴들이”(신동엽 시 「밤은 길지라도 우리 내일은 이길 것이다」) 있다고 말하는 신동엽 시의 한 구절처럼, 이 형형색색의 이야기들이 우리의 빛나는 내일을 눈앞에 펼쳐놓는다.
신동엽 시인 50주기를 맞이하며
공선옥 오후 다섯시의 흰 달
김금희 깊이와 기울기
김미월 가장 아름다운 마을까지 세시간
김정아 잃어버린 소년
김종광 당산뜸 이웃사촌
김하기 장례식장에서
박민규 마리아 말로(María Malo)
오수연 유람
조해진 경계선 사이로
최진영 그것
수록작가 소개
신동엽문학상 역대 수상자 명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