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상의 모든 작고 어린 존재를 응원하는 이야기
꼬마 생쥐 새앙이의 모험을 그린 『큰일 한 생쥐』(첫 읽기책 9)가 출간되었다. 아무도 눈여겨보지 않던 보잘것없는 존재인 새앙이가 누구에게도 주눅 들지 않고, 자신만의 꾀와 재주로 활약하는 모습에 어린이 독자들이 자신을 투영하고, 기꺼이 반길 만한 동화다. 가장 미약한 존재가 가장 용감한 존재로, 가장 문제적인 인물이 가장 지혜로운 인물로 변모하는 과정이 뿌듯한 감동을 안긴다. 생쥐 가족에 아기 생쥐가 태어나 막내였던 새앙이가 어엿한 누나가 되는 결말은 따뜻한 여운을 남긴다. 근래 보기 드문 동화다운 문장이 정겹고, 희곡 작업을 해 온 작가 특유의 말맛이 살아 있어 소리 내어 읽기에 좋다. 주목받는 일러스트레이터 애슝의 그림이 보는 즐거움을 더한다.
당찬 꼬마 생쥐 새앙이의 사랑스러운 모험
생쥐 가족의 막내 새앙이는 언니와 오빠를 따라나섰다가 길고양이 밥그릇에 똥 한 알을 흘리고 만다. 자기 밥그릇을 탐낸 겁 없는 생쥐를 혼쭐내려는 고양이와 마주친 새앙이는 오히려 당돌하게 재치로 맞서 둘은 친구가 된다. 고양이와 친구를 맺고 ‘큰일 한 생쥐’가 된 새앙이는 자기만 뽐내려는 얄미운 다람쥐 다람이를 꼼짝 못하게 만들고, 두더지 두룽이에게는 멋진 이름을 지어 준 보답으로 넓은 집을 선물받기도 한다. 아름답지도, 힘이 세지도 않지만 타고난 슬기와 용기를 지닌 새앙이는 너구리 때문에 쉼터에서 쫓겨난 고양이를 돕기 위해 친구들과 새로운 작전을 짜는데……. 새앙이와 친구들의 작전은 성공할 수 있을까?
가장 미약한 존재가 가장 특별한 존재로
꼬마 생쥐 새앙이는 언니와 오빠에게 귀찮고 성가신 존재다. 하지만 길고양이를 무서워하는 언니 오빠와 달리, 도리어 용감하게 길고양이의 친구가 되는 것은 새앙이다. 언니와 오빠가 믿지 못했듯, 독자들도 처음엔 새앙이의 “나는 큰일 한 생쥐야.”라는 선언을 귀여운 허풍처럼 느낄지 모른다. 그렇지만 새앙이는 아름다운 다람이의 털빛을 탐내다가도, 생쥐 털의 잿빛이 달빛과 같다는 것을 깨닫고 자긍을 느낄 줄 아는 의젓한 모습을 보인다. 나아가 새앙이는 자신의 존재 가치를 증명하는 데 머무르지 않고 약자들과 연대하고 강자에 맞선다. 가장 미약한 존재가 가장 용감한 존재로, 가장 문제적인 인물이 가장 지혜로운 인물로 변모하는 과정이 뿌듯한 감동을 안긴다.
모험보다 위대한 일상
새앙이는 엄마와 아빠한테도 어린 시절이 있었다는 걸 새삼스레 깨달았어요.
“엄마 아빠도 어릴 적에 동생을 돌보았어요?”
엄마와 아빠가 일시에 고개를 끄덕였어요.
“어땠어요?”
엄마와 아빠가 한목소리로 말했어요.
“큰일이었지.”
“생쥐는 누구나 큰일을 하는군요.”
엄마와 아빠가 번갈아 가며 새앙이를 쓰다듬어 주었어요.
“그럼.”
“큰일을 하지 않은 생쥐는 없단다.” (100~101면)
한편, 이 작품은 한 특별한 생쥐의 모험담에 그치지 않는다. ‘큰일’ 한 생쥐인 새앙이조차 때로는 동생의 말썽에 풀이 죽지만, 엄마 아빠는 평범한 일상을 일구기 위한 보통 사람들의 노력의 가치를 다정하게 들려준다. 『큰일 한 생쥐』는 각자의 자리에서 성실히 제 몫과 역할을 하는 보통 사람들의 위대함을 그림으로써 어린이들이 건강한 자아상을 세울 수 있도록 돕는다. 문제적 인물이나 특별한 존재만이 아닌 가까운 사람들의 영웅적인 면모를 발견하는 작가의 시선에서 인간에 대한 존경이 묻어난다. 우정과 우애, 용기와 지혜, 어린이에게 전해야 할 모든 것이 이 짧은 이야기 안에 담겨 있다.
1. 첫 번째 친구
2. 다람이
3. 두룽이
4. 고양이를 돕는 쥐들
5. 생쥐는 말이야
작가의 말
초등학교 저학년인 때였습니다. 선생님께서 「선녀와 나무꾼」을 얘기해 주고 줄거리를 적어 오라는 숙제를 냈습니다. 글쓴이는 숙제를 해 나가다가 한곳에서 멈추었어요. ‘사슴은 어느 쪽으로 갔는가?’ 하고 쓰려는데 ‘쪽’이라는 글자를 몰랐거든요. ‘쪽’이라는 글자의 자리를 비워 놓은 채로 숙제를 했습니다. 그 글자를 몰랐다는 게 마음에 남았습니다. 그 후로 앞길을 두고 스스로에게 물어봤습니다. ‘나는 어느 쪽으로 가려고 하는가?’ 수십 년이 지났는데도 여전히 묻고 있습니다. 어린이 여러분들도 한번 물어보세요. ‘나는 어느 쪽으로 가려고 하는가?’ 마음속에서 대답이 나올 겁니다. 그 대답대로 나아가면 됩니다. 대답을 얻지 못할 수도 있지요. 그럴 때는 책을 읽어 보세요. 특히 동화를. 동화가 어느 쪽으로 가야 하는지 알려 준답니다. 2016년 5월 정범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