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유경 시인은 2007년 가을호 『창비어린이』에 동시 2편(「정신통일」「산뽕나무 식구들」)을 발표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이후 등단 3년 만에 펴낸 첫 동시집 『까불고 싶은 날』은 독자들로부터 아낌없는 사랑을 받았고 평단으로부터는 “구체적이고 실감 있는 모습의 아이들이 등장”하고, “아이들 모습과 속마음을 아이들 입말에 가까운 진술로 들려”(김제곤, 「발랄한 언어 감각과 진실한 삶의 태도」, 『까불고 싶은 날』 해설, 106, 108면)준다는 호평을 받았다.
시인의 산뜻한 언어 감각과 아이들을 있는 그대로 담아내는 섬세한 눈썰미는 일찍이 독자와 평단을 두루 사로잡아 왔다. 이러한 시인만의 장기는 새 시집 『까만 밤』에서도 유감없이 발휘된다.
「초코 머핀」「길쭉이 삼총사」「지우개 똥 나라」「백 점 만세」 등 일련의 시편에서 정유경은 아이가 일상에서 느낀 바를 진솔하게 토로하고 있는데, 이 목소리가 시인이 짐짓 어린이를 흉내 내고 있는 것처럼 느껴지지 않고 퍽 자연스럽다. 어린이 화자를 내세우면서도 어른인 시인의 그림자를 내비치지 않는 솜씨는 우리 동시에서 보기 드문 귀한 재주이며, 가히 그가 타고난 동시인이라는 생각마저 살며시 들게 한다. 「더덕」「포도송이」 등에서 의성어와 의태어를 자유자재로 구사하며 보여 주는 리듬감 또한 능란하며, 시를 소리 내어 따라 읽어 보게 되는 재미를 더한다.
폴-착 착/폴-착 착//시곗바늘이/왈츠처럼 지나가기 시작했다.//폴-착 착/폴-착 착//내가 좋아하는 그 애가/내 옆에 앉고부터 갑자기.
—「시곗바늘이 왈츠처럼」 전문
한편 아이의 속마음을 아이의 목소리로 표현하는 시인의 매력은 사물에 의탁해 감정을 시청각적으로 드러낸 위의 시 「시곗바늘이 왈츠처럼」에서처럼 아이들 마음속에 싹트는 일종의 ‘연정(戀情)’을 그릴 때 한결 빛을 발한다. 「달콤하니」「적당히와 많이」「_랑」「걸어」 등의 시에서 시인은 풋풋하면서도 뜨겁고, 두근두근하며 설레는 한순간을 절묘하게 붙든다. 시인이 이렇듯 아이들이 지닌 감정의 세세한 결을 놓치지 않을 수 있었던 것은 그가 아이들의 친구에 대한 관심과 애정을 티없고 해맑은 마음가짐으로 받아들인 덕분이리라.
친구랑 싸워 진 날 저녁/지는 해를 보았네.//나는 분한데/붉게/지는 해는 아름다웠네.//지는 해는 왜/아름답냐?//지는 해 앞에 멈춰 서서/나는 생각했네.//지는 것에 대해서.
—「지는 해」 전문
이번 시집에서 특히 새롭게 눈에 띄는 점은 자연을 품은 시편들이다. 위의 시 「지는 해」에서 어린이 화자는 까불고 들뜨고 설레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지는 해 앞에 멈춰 서서” 생각한다. 더욱이 아이는 ‘이기는 것’이 아닌 “지는 것”에 대한 생각에 잠겨 있다. 일몰(자연) 앞에서 마음을 응시하고 감정을 정돈하는 이 장면에는 생각이 깊어지는 아이의 또 다른 한순간이 잔잔히 담겨 있다. 「여름밤 꿈」과 같은 작품 역시 자연과 세상을 둘러보는 차분한 시선이 돋보이며, 기존의 어린이 화자들이 가닿기 어려웠던 타인에 대한 웅숭깊은 애정이 스며들어 있다.
빨강, 노랑, 파랑이/폭 껴안아/검정이 되었대.//깜깜한/밤/오늘 이 밤엔//무엇, 무엇, 무엇이/꼬옥/껴안고 있을까?
—「까만 밤」 전문
마지막으로 이번 시집의 표제작 「까만 밤」에서 시인은 색의 삼원색을 빌려 세상의 구성 원리, 그 이치의 비밀을 엿보려 한다. 빨강, 노랑, 파랑이 “폭 껴안아” 검정이 되었다는 서술은 과학의 원리를 시인 고유의 상상력으로 풀어낸 것이다. 이 시에서 “검정은 모든 것이 수렴하고 정지한 평화의 시간”(김이구, 「세상을 보는 눈이 깊어진 동시」, 『까만 밤』 해설, 98면)을 뜻할 터인데, 이 검정은 폭 껴안는 ‘사랑’의 행위가 있어야만 가능하다. 시인이 구한 세상의 이치에 대한 해답은 바로 이 ‘사랑’인 것일까. 시의 마지막 구절에서 시인은 독자들에게 “오늘 이 밤엔//무엇, 무엇, 무엇이/꼬옥/껴안고 있을까?”라는 물음을 던지는데 이를 독자들에게도 각자 세상의 근원에 대해 궁리할 여지를 남기려는 시인의 배려로 해석하는 것이 지나친 비약은 아닐 것이다.
“정유경의 이번 동시집은 첫 동시집에서처럼 아이의 눈으로 보고 아이의 목소리로 노래하지만 한결 깊어진 세계를 보여”(김이구, 추천사) 준다. 자기를 둘러싼 일상에서 나아가 자연과 세상에 한 걸음 다가서고, 다른 한편으로 자신의 내면으로도 고요히 파고드는 어린이 화자의 성숙은 시의 성숙으로도 이어진다. 생활시에 강한 면모를 보였던 시인이 서정시의 경지까지 껴안은 이번 시집은 이제 겨우 두 번째 시집이라고는 믿기지 않는 경이로 다가오며 앞으로의 행보에 더욱 귀추를 주목하게 한다.
머리말|마음들
제1부 늦가을 흰나비
산수유 열매
목련나무 하얀 새
달, 눈동자
까만 밤
나비의 첫 날기
유채꽃밭
붕붕 벌들 붕붕
비 온 뒤 졸참나무 숲
안녕, 푸른 개구리
바람이 불면
늦가을 흰나비
하루살이
늦가을 풍경
제2부 포도송이
포도송이
더덕
힘내
도라지 먹고 도레미
초코 머핀
예쁜 척
라면
달콤하니
번데기
팡
길쭉이 삼총사
갈치
제3부 시곗바늘이 왈츠처럼
시곗바늘이 왈츠처럼
손바닥
이야기는 나누기
지우개 똥 나라
여름밤 꿈
적당히와 많이
_랑
꽃잎
나비
나도 한번
다 그래
백 점 만세
장미였다가 튤립이었다가
나를 위한 노래
제4부 까치 가지 까지 같이
까치 가지 까지 같이
흐린 날
조금은 닮았구나, 눈과 눈
앵두 자두 내 구두
놀자고
있어
귀한 귀
희망이 있는 곳
걸어
지는 해
옛날에 하느님이
해설|세상을 보는 눈이 깊어진 동시_김이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