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비신서 61

전환기의 동아시아 문학

임형택  엮음  ,  최원식  외 엮음
출간일: 1985.04.25.
정가: 4,800원
분야: 문학, 평론
도서상태: 품절
봉건체제가 무너지면서 제국주의 침략에 노출되었던 근대적 전환기에 한국·중국·일본 3국의 문학이 담아내었던 시대의 동향 및 민중의 활기를 깊이있게 분석한 14편의 논문은 민중적 차원에서 동아시아 세계와 문학을 유기적으로 파악함으로써 민중문학의 관점에 내실을 기할 수 있게 한다.

목차

머리말

 

제1부 

이조말 지식인의 분화와 문학의 희작화(戱作化) 경향/임영택

1. 머리말

2. 한문학 전통 속에서의 희작

3. 지식인의 분화와 유락(流落)

4. 희작의 발생과 그 작풍

5. 맺음말

 

연암의 현실인식과 전(傳)의 변모양상/김명호

1. 문제의 제기

2. 『방경각외전』과 서민은사(庶民隱士)의 모습

3. 「옥갑야화」와 전의 변모양상

4. 결론

 

춘향전의 역사적 성격 분석/박희병

1. 접근 방법

2. 춘향이라는 인물

3. 이도령이라는 인물

4. 변학도•월매•방자

5. 전환기 문학으로서의 『춘향전』

 

제2부

제국주의와 토착자본/최원식

1. 애국계몽기의 문학

2. 작가 육정수와 기독청년운동

3. 『송뢰금(松 琴)』과 토착자본의 운명

 

애국계몽기의 전기문학/강영주

 

부서진 세계 안의 자유와 절망/김흥규

 

근대민요 아리랑의 성격형성/김시업

1. 머리말―아리랑에 댜한 시각

2. 근대민요의 범주와 「아리랑」

3. 「아리랑」의 성격 형성

4. 일본 제국주의 침략과 「아리랑」의 위기

5. 「아리랑」의 성격 발전

6. 맺음말

 

제3부

삼국지연의(三國志演義)의 성립과정과 인물성격고(人物性格考)/이혜순

1. 머리말

2. 『삼국지연의』의 성립과정

3. 주요 등장인물론

4. 결론

 

홍루몽의 반봉건성/성민엽 정리

 

양계초의 문학사상/김학규

1. 양계초와 그의 시대

2. 우국계몽과 문학사상

3. 양계초와 문학

4. 결론

 

중국 신문학운동과 노신/하정옥

1. 머리말

2. 오사문학운동

3. 헌 부대에 새 술

4. 노신―『눌함( 喊)』과 『방황(彷徨)』

5. 전통과 창신(創新)―「광인일기」

6. 사랑과 증오

7. 맺는 말

 

제4부

일본의 근세문학/최박광

1. 첫 머리에

2. 권위주의에의 도전

3. 골계와 풍자의 미학

4. 개인주의에의 지향

5. 끝맺음

 

일본 개화기의 정치소설/천융식

1. 머리말

2. 도막운동(倒幕運動)의 에너지

3. 자유민권운동과 정치소설

4. 정당의 해산과 관민합동

5. 결어를 대신해서

 

일본 자연주의/중촌광부(中村光夫)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