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남동양학술총서 간행사 21세기에 다시 쓴 간행사
책머리에 21세기 동아시아를 바라보며: 왜 교차하는 텍스트인가?
1부 ‘동아시아되기’가 뜻하는 것
동아시아로 가는 길들․최원식
‘국경 없는 침입자’ | 일본에 부는 바람 | 부재하는 것의 귀환
21세기에 ‘동아시아 공동체’가 갖는 의미․사까모또 요시까즈
21세기의 도전 | 동북아시아 공동체의 조건 | 비핵 공동체 | 부전(不戰) 공동체 | 안전보장의 이니셔티브 | 체제개혁의 이니셔티브 | 국가의 경계를 넘어서는 ‘공동체’ | 동아시아의 정체성 | 동아시아를 넘어서는 ‘동아시아’
나하에서 샹하이로: 루쉰과 타께우찌 요시미 사이에서․쑨꺼
2부 문화 텍스트로서의 동아시아
동아시아인의 정체성 형성, 장애와 출구: 비판적 동아시아 담론을 중심으로․임춘성
들어가는 글 | 동아시아(인)의 정체성 | 동아시아인의 정체성 형성의 장애 | 동아시아인의 정체성 형성을 위한 과제 | ‘차이의 국면으로서의 동아시아’의 소통과 연대
전통과 당대 중국: 전통부흥 현상의 사회문화적 맥락․장즈창
일국적 과거와 초국적 기억: 하루끼 현상의 동아시아적 의미․백지운
감수성의 틈 | 세상에서 제일 터프한 ‘화해’ | 국적 없는 노스탤지어 | 보론: 하루끼적 앙가주망
동아시아 영화교류의 현황과 미래․강태웅
동아시아에서의 합작영화 현황 | 활발한 교류의 의의와 배경 | 동아시아 영화교류의 역사 | 합작영화가 그려내는 것 | ‘동아시아 영화’를 다시 묻는다
3부 생활하는 동아시아
아시아 여성의 이동과 국제결혼․이혜경
들어가는 말 | 국제결혼의 용어 변천 | 동아시아 3개국의 국제결혼 추이 | 주요 질문들 | 주요 이슈들 | 결론
황혼에 만나는 동남아: 필리핀 은퇴이주를 중심으로․김동엽
머리말 | 필리핀 은퇴이주의 현황과 실태 | 필리핀 은퇴이주의 현실과 전망 | 맺음말
아시아 고등교육의 트랜스내셔널 네트워크․스기무라 미끼
들어가며 | 1990년대 이후 아시아에서의 고등교육의 변형 | 아시아에서의 트랜스내셔널한 유학생 이동 | 다양한 형태의 트랜스내셔널한 대학간․지역간 제휴 프로그램 | 트랜스내셔널한 대학간․지역간 제휴 프로그램의 과제 | 나가며: 아시아에서의 트랜스내셔널한 제휴 프로그램의 의의
필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