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비어린이 14호(2006년 가을호)

창비어린이  지음
출간일: 2006.09.01.
정가: 8,000원
분야: 정기간행물, 창비어린이
이번호는 [특집]에서 ‘2000년대 주목받는 작가들’을 집중 조명한다. 70년대생 신진작가인 김리리 김종렬 유영소 유은실과 본지 기획위원 박숙경의 좌담은 이들의 문학세계와 새로운 감각을 생생하게 전한다. 아울러 최근 이삼년간 경륜과 깊이를 더해온 작가 김남중 김옥 남찬숙 최나미 작가론은 2000년대 어린이문학의 변모와 발전양상을 깊이있게 진단해낸다. [논평]에서는 지난 『창비어린이』 여름호 특집과 기획을 비판적으로 되짚어 관련 논의를 넓혀간다. [산문·비평]에는 흥미로운 논문이 여럿 실렸는데, ‘사춘기 초딩’에 주목한 작품들로 어린이문학의 새로운 흐름을 포착한 글, 고전으로 통하는 『피터 팬』을 ‘버리자’는 논쟁적인 글이 실렸다. 같은 작품의 두 가지 번역본에 따른 아이들 반응을 꼼꼼히 살핀 글이 유익하며, ‘동화’ ‘옛이야기’ ‘메르헨’ 같은 어린이문학 용어가 잘못 쓰이는 현실을 갈파한 논문은 현장 사람들이 귀담아들어야 하겠다. 이어 책의 본질과 기본을 보자며 출판계에 쓴소리를 던진 [발언대]가 아프게 다가오고, 앤서니 브라운의 『숲 속으로』를 분석한 번역논문은 충실한 어린이책 읽기의 사례로서 주목할 만하다.

목차

독자의 눈

김은정 / 반가운, 아쉬운, 그래서 뭔가 더욱 바라게 된 쎄미나

정혜원 / 치밀한 기획으로 토론을 충분히 해보자

 

특집 _ 2000년대 주목받는 작가들

좌담 / 나는 이렇게 쓴다: 김리리 김종렬 유영소 유은실 박숙경

원종찬 / 김남중론: 역사와 자연을 보는 눈

이재복 / 김옥론: 아이들 내면의 변화를 세밀하게 그려내는 이야기꾼의 힘

김현숙 / 남찬숙론: 따라오라 할까, 같이 갈까

배봉기 / 최나미론: 열세살, 그 넓고 깊은 세계

 

동시

이상교 / 우리 선생님 외 1편

최종득 / 오래 같이 살면 외 1편

 

김제곤의 동시 즐겨찾기

김제곤 / 자식_김환영

 

동화

김종렬 / 엄마 몰래 탈출하기

강무지 / 닭

 

논평 - 『창비어린이』 여름호를 말한다

문승연 / 그림책, 작품 비평에서 시작하자

염희경 / 이데올로기와 어린이의 불행한 만남

 

아이들과 함께

김미라 / 별 볼일 있는 존재로 걸어가는 아이들

배성호 / 자전거 전용도로를 만들어주세요!

 

산문·비평

조은숙 / ‘사춘기 초딩’들이 몰려온다

이주영 / 인류가 버려야 할 『피터 팬』

정현아 / 두 번역본이 만들어낸 다른 반응 -『우정의 거미줄』과 『샬롯의 거미줄』

조남주 / 우리 그림책 입문서 돌아보기

김환희 / 뒤엉킨 용어의 실타래: 동화, 요정담, 메르헨, 옛이야기의 경계선

 

발언대

채인선 / 책의 본질과 기본을 생각하며

 

번역

엘리자베스 불렌, 엘리자베스 파슨즈 / 한혜정 옮김 / 앤서니 브라운의 『숲 속으로』를 위한 지도

 

장경섭 만화

장경섭 / 이야기의 해변에서 2 - 어린 왕자

 

책과 세상

권혁준 / 아이가 된 시인, 놀이로 읽는 동시 - 창작 : 이상교 『먼지야, 자니?』, 김은영 『아니, 방귀 뽕나무』

유영진 / 반가운 신인들의 목소리 - 창작 : 최정금 외 13인 『달려라, 바퀴!』

김성진 / 진실에 무게를 둔 이야기이기를 - 창작 : 임사라 『내 생각은 누가 해줘?』

조군장 / 아니 벌써, 짜장면 철학을 알아버린 아이들 - 창작 : 이현 『짜장면 불어요!』

강명관 / 암행어사 이야기에 담긴 판타지와 내셔널리즘 - 논픽션: 정명림 『내가 찾은 암행어사』, 김은하 『조선시대 암행어사』

양동훈 / 가련한 어른들을 위한 아이들의 배려 - 논픽션 : 한상복·전지은 『어린이를 위한 배려』

 

국내외 동향

천지현 / 한국

최문선 / 독일

박종진 / 일본

 

[社告]

투고작품평

제4회 창비어린이 신인평론상 공모

어린이 독후감 공모

독자투고 안내

정기구독을 권합니다

지난호 바로잡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