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비어린이 13호(2006년 여름호)

창비어린이  지음
출간일: 2006.06.01.
정가: 8,000원
분야: 정기간행물, 창비어린이
이번호는 창간 3주년 기념호로, 우리 어린이책 출판에서 주요한 몫을 담당해온 ‘일러스트레이션’에 대해 집중적으로 다루었다. 삽화의 제자리를 찾고 글과 그림의 관계를 재인식하자는 취지로 연 공개세미나 ‘어린이문학과 일러스트레이션’을 지상중계하고, 지난해 공모 수상작들의 삽화에 도전한 시론(試論)과 한·일 그림책 작가가 만난 이야기, 그리고 원로 일러스트레이터 홍성찬 선생 인터뷰 등을 [특집]으로 담았다. 어린이책 일러스트레이터 및 관계자 들에게 충분히 신선하고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산문·비평]에서는 동요 작곡가이면서 가수인 백창우씨가 MBC창작동요제를 공개 비판했고, [기획]에는 우리 어린이문학에서 아직까지 제대로 짚지 못한 ‘친일’과 ‘반공’ 문제를 깊이있게 다룬 글을 담았다. 민감한 주제에 도전한 의미있는 성과로, 반향을 기대한다. 이밖에 신설 꼭지인 [만화]와 [김제곤의 동시 즐겨찾기]에도 큰 관심을 바란다.

목차

책머리에

김이구 / 창간 3주년에 즈음하여

 

독자의 눈

최성훈 / 내가 본 『어린이 사회사전』

이정화 / 우리 글에 대한 관심과 사랑을 바라며

 

창간 3주년 기념 특집_어린이문학과 일러스트레이션

이억배 / 세미나① 발표 _ 환장하게 어려운 그림책

이형진 / 세미나① 발표 _ 누구를 위하여 어린이책 속에 그림이 있는가

노경실 / 세미나① 발표 _ 만족을 모르는 에리직톤의 후손-마이다스의 손-‘보암직’의 함정

임정은 / 세미나① 발표 _ 그림책은 오리너구리?

김상욱 / 세미나② 주제발표 _ 익숙한 관계, 새로운 모색

채인선 / 세미나② 토론 _ 그림책은 글작가와 그림작가의 것이 아니다

한성옥 / 세미나② 토론 _ 매체로서의 그림책에 날개를 달자

여을환 / 세미나② 토론 _ 개별 작품의 양상을 착실히 보았으면

엄혜숙 김상욱 한성옥 이억배 임정은 노경실 / 종합토론

김병수 / 아동문학을 빛내는 조연배우 찾기

엄혜숙 / 함께 만난 한국과 일본의 그림책

고선아 / [인터뷰] 원로 일러스트레이터 홍성찬

 

동시

안학수 / 슬픈 새만금 외

성명진 / 가겟방에서 외

김제곤 / 김제곤의 동시 즐겨찾기: 저녁밥 _ 김오월

 

동화

김일광 / 친구가 생길 것 같아

남찬숙 / 착한 아이는 없었다

서지선 / 밤길

 

투고작품평

김상욱

 

아이들과 함께

최승희 / 치유의 학교

 

발언대

김남중 / 우리 아이 책꽂이에는 어떤 그림책이?

 

독자투고_얘, 왜 이렇게 그렸지?

최희주 / 판타지공간의 인물답게!

엄윤숙 / 따로 또 같이

 

산문·비평

백창우 / 뻔하고 뻔하고 뻔하다 - 2006년 MBC창작동요제를 보고

 

기획 _ ‘친일’과 ‘반공’

김화선 / 식민지 어린이의 꿈, ‘병사 되기’의 비극

선안나 / 1950년대 아동문학과 반공주의

 

장경섭 만화

장경섭 / 이야기의 해변에서 - 피리 부는 사나이

 

책과 세상

노성두 / 온전히 되살리지 못한 작가의 삶과 고뇌 - 논픽션: 김학량 『화가 이응노』, 성완경·허진무 『희망을 새긴 판화가 오윤』

김아리 / 역사를 이야기해주는 또하나의 방식 - 논픽션: 안소영 『책만 보는 바보』

이상권 / 소중하고 아름다운 생명의 무게 - 창작: 김남중 『자존심』

정미영 / ‘문제 엄마’와 함께 살아가기 - 창작: 최나미 『걱정쟁이 열세 살』

김유미 / 예술적인 교육연극은 가능한가 - 공연: 극단 사다리 「하마가 난다」

이지원 / 그림책을 예술작품으로 누리다 - 전시: 2006년 파주어린이책잔치 테마전시회

 

국내외 동향

최은영 / 한국

최문선 / 독일

오은하 / 프랑스

박종진 / 일본

 

[社告]

제11회 ‘좋은 어린이책’ 원고 공모

제4회 ‘창비어린이 신인평론상’ 공모

독자투고 안내

정기구독을 권합니다

지난호 바로잡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