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을 읽어야 한다는 데 동의하지 않는 사람은 없다. 다른 나라 작품보다 우리 고전을 먼저 알아야 한다는 주장에도 대개 고개를 끄덕일 것이다. 그런데 막상 고전을 읽고자 할 때, 우리는 어려움에 부딪힌다. 어떤 작품을 어떻게 읽어야 할지 막막하기 때문이다. 사실 우리 고전으로 일컬어지는 저술들은 그 원본이 오늘날의 문장으로 되어 있지 않아서 전문적 훈련 없이 읽어내기 어렵다. 원본을 충실하게 실었다는 책은 두세 장을 읽다가 힘들고 지루해서 그만두게 되고, 쉽게 읽을 수 있도록 손질했거나 만화로 재구성한 책은 재미있기는 하지만 진짜 고전과는 거리가 멀다.
이런 판단에서 기획된 이 시리즈는 우선 자체 검증된 필자에게 집필을 의뢰, 이혜숙•정종목•김종광•고운기•김별아 등 우리 말과 글을 가장 사랑하는 시인•작가들이 대거 참여하였다. 이들은 여러 판본을 구하여 읽고 그 가운데 완성도가 높은 것들을 한두 개 비교해가면서 책의 내용이나 담고 있는 주제는 원작이 나타내고자 하는 바에 충실히 따르면서 읽는 재미를 최대한 살리는 작업을 했다. 그리하여 어린이의 눈높이에 맞추고 우리말의 리듬을 최대한 살려낸 원고로 만들었다. 텍스트 선정과 이야기 구성에 있어서는 임형택•박희병 교수 등 연구자의 자문을 받았고, 원고 완성 단계에서는 현역 초•중•고 국어교사의 검토를 참고로 최종 수정에 들어갔다. 이렇게 해서 2000년 초 처음 작업에 들어간 이 시리즈는 이제서야 1차분을 내놓게 되었다. 1차분『토끼전』『심청전』『홍길동전』외에『박씨 부인전』(김종광 글) 『장화홍련전』(김별아 글) 등을 준비중이다. 또 조선후기 한문단편 가운데 주제별로 모은『북경 거지』(고운기 글)나『옛날 선비들이 쓴 무섭고 재미있고 신나는 이야기』(이혜숙 글)처럼 널리 알려지지는 않았지만 오늘에 되살릴 만한 가치를 풍부하게 지닌 작품들도 찾아 소개할 것이다. 이 시리즈는 무엇보다도 독자들이 고전의 참 모습과 의미를 충실하게 익힐 수 있도록 하였다. 무엇을 대본으로 삼아 얼마나 손질했는지 정체불명인 책들이 많아서, 그동안 고전을 읽고서도 읽었다 할 수 없는 경우가 적지 않았는데, 이 시리즈에서는 원전의 뜻과 느낌을 그대로 살려 서술하고 책 뒤에 '어린이와 부모가 함께 읽는 작품 해설' 꼭지를 두어 집필 과정과 우리 고전에 대한 설명을 친절하고 상세하게 밝혀, 믿고 읽으면서 즐거움과 보람을 한껏 누리게 하였다. 또한 실력있는 화가들이 자신의 개성을 한껏 살려 그린 그림들은 고전 읽는 재미를 더해줄 것이다.
재미있다! 우리 고전 ② 심청전
시인 장철문씨가 여러 판본과 판소리 '심청가'를 활용하여 다시 살려낸『심청전』에는 철없는 아버지의 눈을 뜨게 하기 위해 목숨까지 바친 가련한 심청의 이야기가 실려 있다. 이 줄거리는 우리에게 너무나 익숙하지만, 이 책에서는 그런 줄거리보다는 심봉사와 뺑덕어멈 같은 인물들의 생생한 캐릭터 창조에 좀더 초점을 맞추었다. 또한 곽씨 부인 묻는 날과 심청이 뱃사람들에 이끌려 길을 떠날 때, 그리고 심봉사가 한양으로 올라가는 도중 방아를 찧어주는 장면 등에는 판소리 대목처럼 리듬감 있는 구절들이 들어간다. 이런 대목에서는 저자가 시인으로서의 장점을 최대한 발휘, 실제 판소리 마당에서 불려진'심청가들이 가진 생생한 사설과 구성진 가락을 최대한 살리려고 노력한 흔적을 엿볼 수 있다. 저자가 하나의 판본을 정하여 손보는 데 머물지 않고 80여종이 넘는 심청전 이본 가운데 여러 판본을 참조하여 새로이 쓴 것은 어린이들이 우리 고전을 읽는 데 지레 어려움을 느껴 달아나거나, 우리 고전과 줄거리만 같은 이상한 동화를 읽으면서 실망해 온 것을 안타깝게 여긴 까닭이다. 이러한 고민 속에서 새롭게 태어난 심청전은 어린이들에게 우리 조상들의 희노애락이 재미있게 담겨 있는 생생한 이야기를 전해줄 것이다.
고전의 재미 속으로 빠져 보자
봉사의 딸로 태어나다
어머니를 잃은 심청
동냥젖을 먹고, 밥을 빌다
공양미 삼백 석
아버지와 이별하다
인당수
용궁으로 가다
왕비가 된 심청
뺑덕이네
서울 가는 심 봉사
맹인 잔치
어린이와 부모가 함께 읽는 작품 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