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아기 눈(1956∼1961)
아기 눈
옥중이
자벌레
참새네 말 참새네 글
개미집
꽃씨와 벌레알
목화밭
기다려지는 봄
문구멍
버드나무야
아들일까 딸일까
나비 표본
봄 오는 도랑
이상한 별자리
산
새아지매
망초꽃
지구는
산골 아이
월식
제2부 고구려의 아이(1962∼1964)
새벽
시를 잡아라
사과가 익기까지
아버지 새끼발가락
벽은 커다란 몸뚱이로
제삿날
선생님네 집
두고 온 아이들에게
이야기를 짓는 집
비둘기
새엄마
외갓집
가을
큰누나 작은누나
경계선의 마을
벳불에 감자 묻어 놓고
잔치 구경
서낭당
둘개
손
이 이야기를 하지 않고는 견딜 수 없구나
나는 보았다
지통
아기 왕자가 나던 날
가야산
경주
우리 나라 첫날
알 속의 임금
고구려의 아이
첨성대
제3부 바다는 한 숟갈씩(1964∼1968)
몸짓
이름표
키
빨갛게 예쁘고 달콤한 것이
바다까지의 거리
바다는 한 숟갈씩
옥수수 뿌리 밑에는
새끼틀에서
꽃씨 한 개가
자
집보기
셋방에 걸린 달력
찻간에서
장갑 공장에서
외갓집
나무는 잊는다
해질 무렵
옥시풀
휴전선에 선 감나무
영등할머니
제4부 엄마라는 나무(1968∼1973)
터울
봄 개울
강나루
산
돌각담 안집
산골 운동회
벽
판자 마을
씨앗에게
답장
두 제비집
이야기 교장 선생님
엄마라는 나무
고아원 하늘에 피는 놀
제5부 박꽃 피는 시간에(1973∼1974)
박꽃 피는 시간에
설거지
뒷고개
보리가 팬다
장독간
시골의 벽
논둑콩 심고
바구니 끼고 걷는 엄마 걸음걸이
버스
교실
쇠죽 끓이는 겸해
냄새
콩코투리
유월
칠월
팔월
십일월
섣달
탱자나무
제6부 통일이 되던 날의 교실(1974∼1981)
엄마가 언제
엄마가 아시는 것
엄마와 시계
엄마가 키우는 것
된장맛이 들기까지는
엄마 손에는
텃밭
손톱
떠나는 교실
철수가 결석하던 날
세계에서 제일 큰 학교
통일이 되던 날의 교실
책 뒤에